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절
귀절
절
구
글귀
문구
마디
스페셜
"
말마디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과학자 커플의 대명사인 퀴리 부부. 1903년 방사능 발견 공로로 베크렐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피에르는 마차사고로 47세에 유명을 달리했다. 동아사이언스DB 독일의 기계공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빌헬름 뢴트겐은 1895년 진공관과 음극선을 연구하다 우연히 X선을 발견했다. 19세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위로와 조언의 조건
2021.08.07
‘불안’이 문제였던 상황에는 구체적인 조언이, ‘슬픔’이 문제였던 상황에는 조언보다는 위로가 각각 더 큰 도움이 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조언이나 도움이 의외로 실질적인 도움이 별로 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이유에 대해 학자들은 우선 상대가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NASA가 공개한 블랙홀 3차원 영상. NASA 제공 블랙홀은 한 마디로 표면의 중력이 아주 강력한 천체이다. 중력이라는 개념이 과학적으로 정립된 것은 17세기 뉴턴에 의해서였으니까 사실 그 이후로 중력이 아주 강력한 천체에 관한 생각이 없지 않았다. 18세기 프랑스의 미셸과 라플라스는 중력과 관련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살다보면 피부에 이런 저런 상처가 나고 때로는 흉터가 남기 마련이다. 흉터 없이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을 찾는 건 피부 연구자들의 꿈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일 못하는 사람이 다친다고 한 달 쯤 전 간단한 작업을 끝내고 보니 왼손 엄지손가락의 살갗이 벗겨져 있다. 그런데 한쪽 끝이 여전히 온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검증
2021.05.27
NASA 제공 일반상대성이론은 특수상대성이론과 부합하는 중력이론이다. 천재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그런 기획으로 만들기 시작해 성공한 이론이다. 한마디로 말해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 현대화된 버전이다. 중력 현상을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무대는 우주이다. 지구나 태양 같이 천 ... ...
[인간 행동의 진화] 관계 공격성에 지쳐가는 당신에게
2021.05.16
신체적 공격성이 드러나는 일이 거의 없는 현대사회에서는 다른 형태의 '관계 공격성'이 분출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무인도라도 가서 혼자 살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은 대부분 사람 관계다. 단독 생활을 하는 동물은 개체 간의 관계로 인해 고통 ... ...
[사이언스N사피엔스]특수상대성 이론이 등장하기까지
2021.03.18
아인슈타인이 대학 시절을 보낸 스위스 연방공대 전경. 취히리 연방공대 제공 20세기 물리학은 그 이전의 19세기 물리학과 많은 면에서 뚜렷하게 구분된다. 흔히 이 둘은 현대물리학과 고전물리학으로 불린다. 현대물리학은 20세기를 거치며 방대한 분야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룩했는데 이를 떠받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스티븐 제이 굴드는. ‘단속평형설’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진화가 점진적이지만은 않으며 갑작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전통 다윈주의에 큰 파문을 일으키는 주장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현대 진화론을 정립한 찰스 다윈에게도 진화와 관련해 해결하지 못한 여러 문제들이 있었다. ... ...
수학 수업시간 토막나고 쉬운 수학만 가르치면서 AI시대 강조하는 이상한 나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김화경 상명대 수학교육과 교수가 17일 온라인으로 열린 ‘수학·과학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정책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대한화학회 유튜브 채널 캡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기초과학학회협의체가 이달 17일 개최한 ‘수학·과학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정책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오늘날 재배 벼가 탄생하기 까지는 수천 년에 걸친 야생 벼 작물화 과정이 있었다. 앞으로는 게놈편집기술이 야생 벼를 짧은 시간안에 작물로 변신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최초의 농경사회 이후 등장한 새로운 농기구는 모두 목적이 똑같았다. 사람의 힘을 덜 들이고 땅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