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말
기포
거품
방울
물거품
수포
방울의 낙하
스페셜
"
물방울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을 추출해 리포솜 안에 집어넣었다. 리포솜(liposome)은 기름 안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
로 지질(계면활성제) 단일층으로 막을 이룬 안정한 구조다. 안에 엽록체 내막과 CETCH 회로의 구성요소를 지닌 리포솜이 바로 인공 엽록체다. 이들이 만든 리포솜은 평균 지름이 92㎛로 진핵세포 크기다. 이 인공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공기로 전염될 수 있을까
2020.04.21
Emerging Infectious Disease, 2020). 미국 매사츄세츠공대 연구진은 입에서 튀어나온 미세한
물방울
이 초속 10~100m의 속도로 최대 8m까지 날아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JAMA Insights에 소개했다. Bourouiba, 2020 하지만 특정 바이러스 입자가 에어로졸 상태로 있을 수 있다는 것과 공기전파까지도 가능한지 여부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왜 수퍼 전파자가 많을까
2020.04.06
말을 할 때 입에서 나오는 직경 5~6㎛(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의 작은
물방울
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침을 한번 하면 약 3000개의 비말이 나와 대략 2m까지 퍼져나간다. 감염자의 경우 기관지와 폐에서 증식한 바이러스가 ‘바이러스 함유 비말’에 실려 주변 공기로 퍼져나간다. ... ...
"코로나19 더워지면 물러갈까" 英 가디언 QA
동아사이언스
l
2020.03.02
모두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공기중이나 물체 표면에서 짧은 시간 동안 생존하는
물방울
내에 포함돼 퍼진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일반적으로 유발하는 콧물이나 재채기 대신 열과 마른 기침을 주로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명률에 대해서는 적어도 희망적인 ... ...
350년 전통 일본 섬유소재 기업도, 해군 특수부대도 반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0
물방울
의 소수성을 나타내는 소수각이 140도에 이른다. 완전히 동그란 형태로 생기는
물방울
의 소수각을 180도로 볼 때 상당한 수준의 소수성을 보이는 셈이다. TFJ글로벌이 가공 처리한 캐시미어 의류에 물을 쏟으면 섬유에 흡수되지 않고 소수성을 띈다. 김민수 기자. TFJ글로벌은 국내 군복 ... ...
얼음거품 속 휘날리는 눈꽃,'와인의 눈물'과 같은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표면에서 증발하며 상대적으로 표면장력이 큰 물만 남아 마랑고니 효과로 인해 모이며
물방울
이 커져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이다. 거품에서는 얼음으로 인해 거품 내부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며 표면장력의 차이가 발생한다. 여기서 생기는 힘으로 얼음 결정이 거품 표면을 따라 위로 흘러 ... ...
[표지로 읽는 과학] 색소 없이
물방울
로만 그린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프리즘처럼 백색의 빛을 색색으로 흩트리는
물방울
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백색 빛은 서로 다른 색 파장의 합이다. ... 없이도 단지 빛과
물방울
만으로 다양한 색깔로 색칠한 코끼리를 그려내는 데 성공했다.
물방울
로 그려낸 최초의 그림이다 ... ...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그칠 것이란 지적이다. 인공강우는 구름을 이루는 작은 수증기 입자들이 서로 잘 뭉쳐
물방울
로 떨어지도록 구름씨(응결핵)를 뿌려 주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으로는 작은 얼음 결정이 구름씨 역할을 하는데 인공강우의 경우 항공기로 구름에 요오드화은(AgI)나 드라이아이스(CO2) 입자를 살포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나머지 다섯 종도 거의 같다. E: 돌기는 속이 빈 원뿔이 세로로 잘린 구조라서 끝이
물방울
에 닿으면 모세관힘으로 액체가 금방 빨려 들어온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고양이 혀는 성능 뛰어난 빗 살아있는 고양이의 실유두를 자세히 들여다보자 돌기 안에 침이 고여있었다. 그리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미 송곳니에 맺힌 독 방울
동아사이언스
l
2018.02.17
Doe 제공 거미의 뾰족한 두 송곳니 끝에 투명한 액체 방울이 맺혀 있다. 얼핏 보기에 보통
물방울
처럼 생겼지만 사실 물이 아닌 ‘독방울’이다. 이번 주 사이언스지 표지는 깔때기그물거미(funnel web spider, Hadronyche cerberea)의 날카로운 송곳니가 장식했다. 깔때기그물거미는 호주 남동부에 있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