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증
담보
안전
보호
개런티
약속
국가안전보장회의
스페셜
"
보장
"(으)로 총 4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응결체라 생각했다. 의안수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의안의 발전 시력을
보장
하지 못하는 인공 안구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겉모습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매년 1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부상이나 질병으로 눈의 기능을 잃고 있으며 많은 경우에 겉으로 보기에 손상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한다. 환경을 지키는 노력도 중요하다. 그러나 건강하고 깨끗하고 안전한 삶을
보장
해주는 기술도 함부로 포기할 수 없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환경, 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비겁한 욕심은 일찌감치 버려야 한다. 그런 방법으로는 기술패권 시대에 우리의 생존을
보장
해줄 초인류 기술을 확보할 수 없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존재 이유? 지난 반세기 동안 애써 다듬어왔던 우리의 과학기술 정책이 이제는 온전하게 길을 잃어버린 상황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인사로 과학기술을 함부로 흔들지 못하도록 만들고 국책 연구기관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
하겠다는 약속도 있었다. 그런데 세상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을 국정의 중심에 세우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실행에 옮기는 일이 만만치 않게 돼버렸다. 지난 20여 년 동안 파행을 거듭한 과학기술 거버넌스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내리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믿음의 강도가 그 믿음의 사실 여부를
보장
하지 않는다. 때로는 정말 그렇다고 철썩같이 믿고 있을수록 실은 틀렸을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 워털루대의 심리학자 셰인 리트렐(Shane Littrell) 팀은 다른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잘 모르면서 아는 척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사고도 발생한다. 자동차도 위험하고 가공식품도 위험하다. 심지어 의약품도 100% 안전을
보장
해주지 않는다. 100% 안전을 요구하는 세상에서는 인간의 생존이 불가능하다.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상식이다. ‘독’(毒)과 ‘약’(藥)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독성학의 제1 원칙도 무시하지 말아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제공 우리는 왜 이렇게 이기적인 어른이 되었을까. 안타깝게도 나이가 성장을
보장
하는 것은 아니다. ‘어른’이 되면 보다 성숙한 지적 능력과 감정, 행동 조절능력을 기반으로 더 나은 사람이 될 것 같지만 어른들 사이에서도 타인을 괴롭히는 행동들이 나타난다. 오히려 어른들이 저지르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돼지를 땅에 묻는 방법으로 대량 살상하는 것은 끔찍할뿐 아니라 동물에게도 권리를
보장
해 줘야 한다. 그래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안락사를 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방법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야 하는 것이 실행을 어렵게 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과 구제역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수 있다' 인정 못하는 이유
2023.06.24
대한 계기판이다. 따라서 몇몇 조건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사랑과 관심을 안정적으로
보장
해주는 존재가 있을 때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방어적인 태도가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것이다. 비슷하게 어렸을 때 양육자와 안정적인 애착관계를 형성했거나 부모로부터 사랑과 안전감을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4개 권역으로 나눠 확대 시행한다. 이 프로젝트는 사회·경제적 이유로 교육 기회를
보장
받지 못하는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영재교육 기회와 멘토링을 통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2018년부터 교육부가 주최하고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이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