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스페셜
"
볼
"(으)로 총 1,9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
2024.08.31
인식함으로써 자신감 높이기, 충동성이 높다면 유혹이 많은 환경은 피하기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기원전 300년 전에도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는 행태의 사악함을 강조하는 글들이 쓰여졌다고 한다. 애초에 한정된 에너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로써 에너지 보존을 위해서라도 때때로 일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소속 욕구가 강할수록 상처받는다
2024.08.24
뒤 상대에게 얼마나 보복하고 싶은지, 상대가 얼마나 망했으면 좋겠는지, 앞으로도 계속
볼
것인지 아니면 피해 다닐 것인지 등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소속 욕구가 강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상대에게 화가 많이 났고 사건의 심각성을 크게 지각하며 그 사람을 용서할 수 없다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
2024.08.03
따라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대세에 편승하는 것일 뿐인지 (자기계발 트렌드) 따져
볼
필요가 있다. 특히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지만 정작 진짜로 중요한 일에 에너지를 쏟고 있는 것 같지 않다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밤에 잠이라도 편하게 자도록 관심사에 있어 가지치기를 할 필요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작은 빛에 자신의 손을 갖다 대자 손은 보이지 않고 손의 뼈만
볼
수 있는 현상을 관찰했다. 뢴트겐은 새로운 성질을 가진 빛을 발견했다는 사실이 기뻤지만 무슨 빛인지는 정확히 알지 못했으므로 ‘정체불명’을 의미하는 X선(X-ray)이라 이름붙였다. 뢴트겐은 자신의 발견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2024.07.27
살인까지 벌어지고 있다. 요즘은 십대에서도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피해자에게 조심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에게 가해하지 말라고 해야 하지만 그래도 끔찍한 일이 벌어질 수 있는 만큼, 또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는 만큼 위험 신호들을 아는 것은 도움이 될 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사회 구성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이들의 당연한 권리를 무시하는 사람들을
볼
때면 나중에 본인이 또는 본인의 가족이 나이들거나 다쳐서 비슷한 어려움을 겪을 때 이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나올 것인지 궁금해지곤 한다. 자신과 다른 남을 배척하는 사회는 언젠가 나를 소외시키는 사회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비늘이 9개 이상인 비율이 40%를 넘어섰다. 이 무렵부터 작물화된 벼를 경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때까지 과정을 보면 흥미로운 패턴이 나온다. 약 2만 4000년 전부터 쌀의 겉껍질, 왕겨의 식물석이 크게 는 것이다. 반면 기동세포에서 비늘이 9개 이상인 비율은 20% 내외로 여전히 야생 벼임을 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인상이 완벽한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2024.06.22
여길 것이라고 보았다. 이 사람과 사귄다고 하면 자신이 더 멋져 보일 것이라거나 별
볼
일 없는 너와 사귀어주는 나에게 늘 충성을 다하라는 식으로 상대방을 착취하는 등 관계에서도 득과 실, 이기는 것과 지는 것을 크게 따질 것이라고 보았다.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인식하는 배경이다. 클로드 모네의 '짚더미' 연작의 일부다.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콘
볼
루션신경망을 이용한 소프트웨어도 이런 식으로 학습시키면 데이터를 양을 줄이면서도(초반은 흑백 이미지이므로) 더 나은 수행 능력을 얻을 수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AI) 로봇에 적용하면 사람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마레스코는 물론 참여하는 의료진은 모두 내시경 카메라가 전해주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었다. 시간 차는 불과 150msec에 불과했고 이 차이는 수술 진행에 전혀 장애가 되지 않았다. 54분간 시도된 최초의 원격수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2003년에는 캐나다 해밀턴에서 일하던 의사 안바리(Mehran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