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스페셜
"
부분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2024.06.29
있었다. 또한 신체적 고통에 관여하는 뇌 부위와 사회적 고통에 관여하는 뇌 부위가 상당
부분
겹쳐져 있음이 밝혀졌다(Eisenberger, 2015). 최근에는 '혈압'이 통증을 느끼는 정도와 관련되어 있고 나아가 사회적 고통과도 관련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보고되고 있다. 혈압이 다소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위) 얼룩소의 무늬를 개별 대상으로 인식해 소를 보지 못하고(가운데) 공의 어두운
부분
을 별개의 대상으로 인식한다(아래).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제공 수술 직후 청소년들은 쏟아져 들어오는 시각 정보에 혼란스러워했고 주위 사물을 인식하지 못했다. 우리가 추상화를 보는 것처럼 색의 덩어리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하고 이를 이용하는 기술을 내시경술이라 한다.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해 기계 끝
부분
에 아주 작은 카메라를 부착하고 관은 휘어질 수 있도록 디자인한다. 관으로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겠다는 아이디어를 처음 실천에 옮긴 이는 독일의 보지니(Philipp Bozzini)였다. 그는 1806년에 관과 거울 등을 이용하여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 꼬리 자르듯 일부만 무너뜨려 건물 전체 붕괴 막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8
하나를 제거했다. 그러자 사라진 기둥이 직접 지탱하는 영역은 붕괴됐지만 건물 나머지
부분
은 무너지지 않았다. 전체 구조물의 붕괴를 성공적으로 막은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대해 "우리의 새로운 설계 방법은 재난 초기에 일부만 붕괴되고 나머지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면서 "생명을 ... ...
[사이언스게시판] IAEA, 한국에서 차세대 소형원자로 상용화 위한 국제대화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07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7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2차 국제원자력기구(IAEA) 혁신원자로 및 핵 ... 신진연구자 지원을 확대했으나 연구자들이 여전히 부족함을 느끼고 있고 개선해야 할
부분
도 있음을 공감한다"며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에게 따뜻해야 타인도 보듬는다
2024.05.04
상대를 통제하려는 욕구 또한 적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채워지지 않는
부분
을 스스로 어느 정도 보듬을 줄 알기 때문에 굳이 타인을 통해 자신의 결핍을 채우려고 하지 않고 따라서 집착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한다. 특히 자기 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갈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스라이팅'을 극복하는 방법
2024.04.06
사람으로 극복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의 자기가치감은 많은
부분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피드백을 통해 형성된다.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사람, 가족, 소중한 친구, 연인으로부터 너는 쓸모 없고 가치 없는 존재라는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들었을 경우 태생이 아무리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린 별의 성장을 방해하는 자외선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24.03.03
에 의해 이온화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원자외선은 자외선 중 파장이 광선보다 훨씬 짧은
부분
을 뜻한다. 올리비에 베르나 프랑스국립과학연구원(CNRS)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별과 별 사이에서 일어나는 '자외선 바람'이 어린 별의 원시 행성 원반에서 가스를 떼어내 별의 질량을 감소시킨다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하지만 현재 그의 이름이 붙은 전집에 쓰인 내용중 어떤
부분
이 그가 쓴 것이고 어떤
부분
이 다른 학자들에 의해 씌어진 것인지 구별하기는 어렵다. 고대 그리스에서 스승을 따르는 제자들의 무리를 가리켜 소크라테스학파, 피타고라스학파와 같이 ‘학파’라는 용어를 사용하곤 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소장으로 왁스먼이 임명되었다. 그는 자신이 발견한 항생물질에 대한 이익금의 많은
부분
을 이 연구에 사용했다. 왁스먼은 스트렙토마이신 발견의 공로를 인정받아 195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세상을 떠날 때까지 18권의 책과 40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다. 왁스먼은 “유기체(곰팡이)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