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성격"(으)로 총 3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버리는 물건에도 '자아'가 있다2023.04.08
- 우리는 물건에서 많은 것을 본다. 그것은 좋았거나 나빴던 기억일수도 있고, 자신의 성격 특성이나 가치관일 수도, 누군가와의 관계일 수도 있다. 관련해서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가 정의한 “자아”에는 물질적 자아(material self)가 포함되어 있다. “내 옷, 신발, 차, 집” 같은 말들이 표현하듯 ...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동아사이언스 l2023.04.03
- 중요성이다. 스타트업은 수직적인 문화가 주류를 이루는 병원과는 또 다른 성격의 조직이다. 역량있는 소규모 인재들이 지근거리에서 머리를 맞대고 사업을 운영한다. 작은 조직의 장점은 개개인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서적 유대, 일명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용서와 배신의 '딜레마'2023.04.01
- 파트너를 쉽게 배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똑같이 용서를 받아도 평소 얼마나 원만한 성격이냐에 따라 행동이 정반대로 갈렸다. 원만한 사람들은 파트너가 용서를 잘 해주는 사람일수록 더 신의를 지키는 반면, 원만하지 않은 사람들은 더 쉽게 신의를 저버렸다. 약 8개월 간의 추적 조사에서도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2023.03.28
- 의사 집단을 설득할 수 없었다. 원만한 성격이 아니라 자기 주장이 강했던 제멜바이스의 성격은 점차 황폐해져 갔다. 비엔나에서 일할 때부터 옳은 주장이 중요하지 않은 이유에 의해 무시당하기를 반복한 제멜바이스는 1865년 친구들에 의해 정신병 환자 수용소에 강제 수용되었다. 그리고 2주일이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2023.03.14
- 볼 수 있는 것처럼 존 헌터는 목적지향성이 뚜렷하고, 온화하거나 윤리의식이 있는 좋은 성격의 소유자는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헌터박물관의 찰스 번 유골은 올바르지 못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니 전시를 해서는 안 된다고 반대하는 의견이나 시위가 많이 있었다. 그렇지만 찰스 번의 유골을 ... ...
- [오늘과학] 성격 특성에 맞는 저축 방식, 저축액 높인다동아사이언스 l2023.02.28
- 위한 저축 등이 포함됐다. 분석 결과 모든 참가자가 이메일을 열어본 것은 아니지만 성격과 일치하는 조건을 받은 참가자의 11.4%가 100달러 저축 목표에 도달해 가장 성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메일을 받지 않은 조건에서는 3.4%만이 저축 목표를 달성했다. 이메일을 받았지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 하는 것도, 어색한 미소를 날리는 것도, 부끄러움이 많은 것도 어느 정도는 타고난 성격 탓이요 내 잘못이 아닌데, 이미 충분히 잘 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는데 괜히 높은 기대를 가지고 스스로를 몰아붙이고 있는 것이 아닌지 묻게 되었다. 자아가 없는 “무아”의 상태까지는 가지 못하더라도 ... ...
- [오늘과학] 정신건강 안좋으면 타인 얼굴 덜 본다동아사이언스 l2023.02.17
- 관심도는 개방성, 외향성, 상냥함 등의 성격적 특성과 연관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반면 성격이 내향적이거나 정신건강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악화된 사람들은 사람의 얼굴에 집중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써도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는 이들에게2023.01.07
-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꼭 주관적이지만은 않다. 다른 말로 믿음은 자기실현적인 성격을 띈다. 특히 어떤 믿음은 신념 또는 삶의 신조가 되어 여러가지 선택지 사이에서 갈팡질팡할 때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렇게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믿음은 꼭 성과에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화...'어둠의 성격 특성'2022.10.01
- 있을 피해자를 지원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공간은 금새 어둠의 성격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사냥터가 되어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규범은 말랑말랑해서 다수가 암묵적으로 동의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사람의 마음이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영향력이 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