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스페셜
"
수술
"(으)로 총 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
수술
,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정위기능신경외과학. 아이비기획. 2017 5. 고대 중국에서 두개골
수술
을?. 과학동아 2017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
수술
,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유혹-성형
수술
의 역사. 권복규, 정진영 역 문학과지성사. 2008 4. 쿤트 헤거. 삽화로 보는
수술
의 역사. 김정미 역. 이룸. 2005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쪽으로 바뀌고 있다. 예를 들어 생김새는 여성인데 자신을 남성으로 인식해 성전환
수술
로 생김새를 남성으로 바꾸면 남성으로 인정해주는 식이다. 물론 이 사람 세포의 성염색체는 여전히 ‘XX’이지만 말이다. 세포생물학에 충실한 필자는 소위 정치적 올바름의 하나인 이런 경향이 거슬렸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의학적으로 유용한 약도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된다. 백신도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있고
수술
도 잘못하면 병을 고치려다 더 심각한 부작용을 얻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병을 고치기 위해 입원했다가 병원에서 병을 얻는 경우도 있으니 병원내 감염이 이에 해당한다.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 발생이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뇌의 특정 부위 신경회로망의 활성도를 충분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모두 머리 밖에서
수술
을 거치지 않고 전류나 자기장을 흘려줌으로써 뇌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들이다. tACS 및 tDCS의 원리 및 이를 활용한 뇌자극의 시뮬레이션 예시. Frontiers Media 제공 따라서 이전부터 연구자들은 단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줄일 수 있는 무균처리법이 개발됨으로써
수술
은 크게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수술
법의 발전은 이차감염이 미생물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루이 파스퇴르. 위키미디어 제공 ● 농민을 도와 주는 과정에서 화학자 파스퇴르가 의학역사를 빛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사실은 어처구니없는 것이다. 만약 그런 지적이 사실이라면 소부장과 감염병 부분만
수술
하면 될 일이다. 기초연구와 출연연의 예산을 도려내야 할 이유가 없다. 과기정통부와 위상과 역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이 과기정통부를 위해 존재하는 현실은 명백한 비정상이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래세대에게 현대의학은 어떻게 보일까
2023.08.08
모든 암세포를 제거하는 일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 그러면 미래의 학생들은 “암세포를
수술
로 제거하다니! 그러면 소화가 제대로 안 될 텐데 그걸 어떻게 버텨? 약으로 해결하면 될 걸 주변 정상조직까지 제거하다니 불과 20년 전에 참 답한 의사들이 많았군!”이라며 혀를 찰 가능성도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
2023.05.30
또 1840년대에 발견된 마취술이 널리 보급된 데에는 1860년대에 벌어진 미국 남북전쟁에서
수술
시 마취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 큰 역할을 했다. 또 1859년에 이탈리아와 프랑스 연합군이 오스트리아에 승리를 거둔 솔페리노 전투지를 방문한 스위스의 뒤낭(Henry Dunant)이 아무 도움도 받지 못한 채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통해 물이 체내로 전달되는 경로를 뛰어넘고 물이 위장관 내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수술
을 통해 장으로 물을 직접 투여하기도 했다. 그 결과 장에 물을 직접 주입하여도 도파민 분비가 크게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물을 마실 때의 맛이나 느낌에 반응하는 것 이외에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