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scale
정도
크기
범위
한계
넓은
스페셜
"
스케일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EDM 유명 DJ들은 음악 정체성 확고”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간주했다. 이와 함께 이들이 해당 기간 발매한 음원들의 장르나 BPM(Beats per minute), 키
스케일
데이터를 분석해 음악 정체성과 연관성을 분석했다. DJ들 간의 총 인용 네트워크(Total Citation Network). 각 노드(동그라미)는 DJ이며, 자신의 곡이 많이 인용될수록 노드의 크기가 크다. DJ들 간의 인용 ... ...
[과기원은 지금] 박현규 KAIST 교수팀, RNA 바이러스 검출 신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표적 바이러스의 RNA를 초고감도로 20분 이내에 검출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스케일
’ 지난달 16일자에 공개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5일 장지현 에너지화학공학부 교수팀이 탄소 배출 없이 그래핀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전기가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KAIST, RNA 바이러스 등온 핵산 증폭 기술 개발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현규 교수 연구팀이 리보핵산(RNA) 바이러스의 표적 RNA ...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스케일
'(Nanoscale) 지난달 16일 자에 실렸다.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쓰레기 청소 사업에 나선 기업들
2021.06.18
쓰레기 제거에 성공한 첫 사례가 된다. 아스트로
스케일
제공 보도에 따르면 아스트로
스케일
은 지금까지 총 210억 엔(214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고, 2023년쯤 서비스를 상용화할 목표를 갖고 있다. 일본 위성통신 회사인 ‘스카이 퍼펙트 JSAT’는 2026년 실용화를 목표로 레이저를 이용해 우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이용 유전자 검출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유전자 검출법에 비해 검출 시간이 약 50% 감소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스케일
’ 지난달 1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소개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홍석원 화학과 교수와 김지선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대 교수팀이 비(非)풀러렌 유기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 ...
[랩큐멘터리] '더 강하고 다루기 쉽게' 합금의 통념을 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연구 방식을 적용해 나노
스케일
부터 마이크로, 거시적
스케일
까지 분석 가능한 ‘멀티
스케일
통합형 모델링’을 구축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엔트로피 합금을 국내 처음으로 연구하기 시작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3D 프린팅과 머신러닝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연구실은 주조와 압연 ... ...
세계 최초 우주청소 위성도 차세대중형위성과 함께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별자리처럼 배치되는 시대에 들어선 지금 이는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아스트로
스케일
은 지난해 일본우주연구개발기구(JAXA)의 우주쓰레기 제거 사업에 선정되기도 했다. ESA도 2025년 ‘클리어스페이서 1호’를 발사해 로봇팔 4개로 우주 파편을 포획하는 임무를 진행할 예정이다. ... ...
[한 토막 과학상식] 초전도 현상 보이는 강상관계 물질 '훈트 금속'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수정돼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며 “동시에 물질 고유의 양자결맞음 에너지
스케일
을 낮은 온도에서 전자구조를 통해 직접 관찰한 연구”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됐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2021.02.04
모든 현상은 기본적으로 멘델의 유전기제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고생물학에서의 큰
스케일
에서의 대진화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진화를 작동시키는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이 자연선택임을 확인한 것도 큰 성과이다. 그리고 생물집단 내의 유전적인 다양성이 진화의 핵심적인 요인임을 알게 ... ...
[랩큐멘터리]머리카락 수십만 분의 1 크기의 나노용기가 세상에 기여하는 방식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나노 공간이라는 도구로 각자의 개성을 담은 그림을 그리고 있다. 포스텍 나노
스케일
공간한정 화학반응 연구단 보기 https://youtu.be/7nMHt_tlous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