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스페셜
"
액체
"(으)로 총 4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섭취량이 인체 함량과 비례한다는 말이다. 혈장과 세포외기질(세포 사이 공간)을 채우는
액체
에는 나트륨이 훨씬 많지만 정작 세포질(세포 안)에는 칼륨이 10배나 더 많고 인체의 전체 세포 부피가 혈장/세포외기질 부피보다 두 배 이상 큰 결과다. 놀랍게도 동물뿐 아니라 식물, 심지어 바다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결정을 녹이고 이 과정에서 주변 열을 흡수한다. 기존 냉각 시스템의 증발기에서 저압
액체
인 냉매가 기화하며 열을 뺏는 것에 해당한다. 이온칼로릭 냉각 시스템의 효과는 꽤 커 EC와 NaI를 쓴 경우 어는점 내림 현상으로 28도의 온도 차이를 구현했다. 즉 전기장을 가해 이온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번데기 우유'로 공동육아하는 개미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2.12.17
사진을 실었다. 번데기에선 끈적한 유백색
액체
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
액체
의 정체는 개미 애벌레가 성장하는 데 필수적인 영양물질이다. 이 무리에 속한 어린 개미와 애벌레는 번데기에서 나온 영양물질을 서로 나눠먹고 있었다. 마치 공동육아를 하는 것처럼 각 무리 내에서 영양물질을 공유했다 ... ...
[과기원은 지금] 강지형 KAIST 교수팀, 신축성 갖는 전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14
강지형 교수, 이원범 박사과정생. KAIST 제공 ■강지형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액체
금속으로 고무처럼 신축성을 갖는 전자회로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웨어러블 기기나 체내 삽입기기, 로봇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11일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과학자 개발 '고무처럼 휘는 다재다능 회로기판'
동아사이언스
l
2022.11.13
이번 연구의 핵심 기술로 고체 절연성
액체
금속 입자 복합체에 음향장을 적용해 조립된
액체
금속 입자 네트워크(LMPNet)를 제시했다. 이는 일종의 '탄성 전도체'다. 이 전도체는 산업계에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머 하이드로겔을 통해 생산될 수 있어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 ...
[탄소중립 최전선] ④국내 CCS 연구 기지개..."탄소저장량 5% 늘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위해선 높은 밀도의 매끄러운
액체
상태가 되야 한다. 기체인 가스가 이같은 성질의
액체
로 변화하는 것을 초임계상태라고 한다. 주입에 더욱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열과 압력 및 일종의 윤활제 역할을 하는 화학물질 등을 첨가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주입펌프와 히터에서 주입 최적의 ... ...
2년 전 지구 떠난 화성탐사선...홍수·유기물·오로라 흔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화성에 두 차례 큰 홍수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다만 약 80m 지하까지
액체
상태인 물에 대한 어떤 증거도 얻지 못했다. 유토피아 평원은 화성의 충돌 분화구 중 하나로 고대 바다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1975년 발사한 바이킹 2호 이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양전하를 띠는 PDDA 사이에 음전하인 ATP가 박혀 서로 엉키면서 진득진득한 젤 같은
액체
방울이 만들어진다. 방울 지름은 수십 마이크로미터로 전형적인 진핵세포 크기다. 그럼에도 오늘날 정의에 따르면 이 자체는 인공세포가 아니다. 연구자들은 인공세포를 만들기 위해 용액에 박테리아 두 ... ...
두차례 미뤄진 '아르테미스'...NASA, 9월 3차 발사 시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수소 연료를 고수하는 것은 로켓 추진제로서 가볍고 강력하기 때문이다.
액체
수소는
액체
산소와 결합할 때 어떤 로켓 연료보다 가장 큰 추력을 만들어낸다는 게 NASA측의 분석이다. 존 빌레빈스 NASA 수석 엔지니어는 8일(현지 시간) 언론 브리핑에서 "수소는 도전적인 분자이지만 가치가 있다"고 ... ...
아르테미스 미션 첫 발사 'SLS 발사' 엔진 이상으로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SLS 발사가 엔진 오작동으로 연기됐다. 발사 전 엔진에서
액체
수소와 공기가 빠지는 과정이 필요했으나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SLS는 당초 한국시간으로 29일 오후 9시 33분(현지시간 오전 8시 33분) 발사될 예정이었다. 발사 2시간을 앞두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