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간
상부
상단
상란
스페셜
"
윗부분
"(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PCR 진단시설 6.8%에서 결과 오류 나타나..."문제될 정도 아니지만 개선여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법을 개발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배양한 후 기도의
윗부분
인 코나 목구멍 등에서 채취한 상기도 검체와 기도 깊은 기관지 등에서 얻은 하기도 검체에 각각 섞었다. 바이러스 농도는 10배씩 희석해 각각 4개씩 만들었다. 여기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대신 감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제공 벼는 이렇게 얻은 에너지의 일부를 줄기를 생장시키는 데 사용한다. 키를 키워
윗부분
이라도 물속을 벗어나게 하려는 전략이다. 이게 성공해 식물체의 일부라도 공기와 만날 수 있게 되면 광합성이 재개되고 산소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죽음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줄기가 ... ...
[표지로 읽는 과학]거품 터지는 현상 설명하는 새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방사형으로 생긴다. 과학자들은 이를 관찰하면서 원인을 중력이라고 보고 있었다. 거품
윗부분
을 연결하던 막이 사라지면서 무게로 인해 돔이 내려앉고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려는 표면장력을 이기고 물결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통념을 실험 조건을 뒤집는 것으로 바꿔 놓았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아랫부분은 밝고
윗부분
은 어두운데, 아랫부분이 관측자인 지구로 향하는 빛이고,
윗부분
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빛이기 때문이다. 굉장히 빠른 속도로 가스가 회전한 탓에 도플러 효과가 극대화된 것이다. EHT 제공 19세기가 남긴 또 하나의 위대한 유산은 분광학(spectroscopy·分光學)이다. 분광학이란 말 ... ...
[게놈과 인류사]16세기 멕시코로 건너간 아프리카인의 고단했던 삶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게놈을 해독했다. 먼저 이들의 출신지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치아에서는 손상된 앞니
윗부분
을 메운 흔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서아프리카에서 지금도 관찰되는 치료행위”라고 말했다. 이들이 서아프리카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이는 이들이 사하라사막 이남인 남아프리카 또는 ... ...
코로나19는 어떤 방식으로 생명을 앗아가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랜싯'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 초기에는 바이러스가 주로 호흡기
윗부분
에서 증식하면서 기침과 재채기 같은 증상을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감염 초기부터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많이 나타나면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유리하다. 그만큼 빨리 다른 숙주를 찾아 바깥으로 나갈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가슴과 배 사이에서 날개 조직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동안, 일부 형태가 변형돼 가슴
윗부분
에서 뿔로 돋아났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2일자에 실었다. 연구팀은 쇠똥구리뿐 아니라 장수풍뎅이와 거저리, 뿔매미, 방패벌레 등 뿔을 가진 곤충들이 비슷한 과정을 거쳐 뿔을 갖게 ... ...
스페이스X '팰컨 헤비' 두번째 상업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지금까지 줄곧 실패해 왔던 페어링 회수에는 처음으로 성공했다. 페어링은 로켓의
윗부분
을 덮는 덮개로 궤도에 오를 때까지 탑재물을 보호하다 탑재물을 방출하면서 떨어져 나가는 부품이다. 머스크는 “공중에 떠다니는 600만 달러의 판이 바다로 떨어지려 한다면 잡으려 하지 않겠느냐”며 ... ...
얼음거품 속 휘날리는 눈꽃,'와인의 눈물'과 같은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중간쯤에서 멈췄다. 그 상태에서 얼음의 미세한 구멍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거품의
윗부분
이 천천히 찌그러드는 것을 발견했다. 보레이코 교수는 “누구나 볼 수 있는 현상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려 하면 아름다움 뒤에 숨겨진 것을 알 수 있다”며 “열전달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사람이 깎을 때와 마찬가지로 로보닥은 임플란트를 씌울 대퇴골 아랫부분과 경골
윗부분
을 깎는다. 임플란트의 뒷면이 블록처럼 생겼기 때문에 이와 맞물리는 모양대로 뼈를 깎는다. 로보닥이 깎는 동안 집도의는 로봇과 연결된 컴퓨터(RCC)의 모니터를 통해 깎을 부분과 깎은 부분, 깎고 있는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