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공학"(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보건의료산업KOITA l2013.08.09
- 세상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발전 속도에 가속이 붙는 현상은 보건의료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 단위를 넘어서 나노 단위 물질을 진단에 이용하게 되고, 인체의 형태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영상술은 기능까지 알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유전자치료와 세포치료의 개발은 ... ...
- 기술혁신으로 본 새로운 기회 탐색 KOITA l2013.07.26
- 7월호는 ‘미래 변화와 기술 발전 그리고 사업 기회 발굴’의 관점에서 지난 6월호부터 시도되고 있는 특집시리즈의 그 두 번째이다. 이번 호에서는 미래 사회 변화 및 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 전망을 각 분야별로 제시하였다. 제한된 지면으로 인해 충분히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못할 ... ...
- 고효율 고분자 광전자 소자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3.07.26
- 1카본닷-은나노입자 복합제 (CD-Ag NPs)의 합성 과정 모식도와 실제 사진(A). CD-Ag NPs의 HR-TEM 사진(B) 및 UV-vis 흡수 그래프(C). CD-Ag NPs를 도입한 고분자 발광다이오드(D) 및 고분자 태양전지(E)의 소자 구조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UNIST 친환경에너지공학부 김진영․김병수 교수와 최효성 박사(제1저자) ... ...
- 줄기세포의 노화 및 스트레스 조절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7.19
-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硏, 원장 오태광) 면역치료제연구센터 최인표․ 정해용 박사팀은 조혈줄기세포의 노화 및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유전자를 발굴하고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줄기세포의 노화 및 스트레스 조절 기술을 개발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Global Research ... ...
- 한국인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 및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 실시동아사이언스 l2013.06.14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65세 이상 고령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치매의 조기진단을 위해 ‘17년까지 ’한국인 표준 치매 예측 뇌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대국민 치매 예측 조기진단 서비스를 온라인 등을 통해 ‘17년부터 시범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치매 뇌지도 구축 등 치매 ... ...
- 세포 공장 만드는 '바이오디자인'이 세상을 바꾼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6.07
-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김선창 단장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바이오디자이너'를 자처하는 사람이 있다. 생명체를 원하는 대로 설계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인데, 지능형 바이오 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을 이끄는 김선창 단장(KAIST 생명과학과 교수)은 스스로를 바이오디 ... ...
- 신기술 창업의 사회경제적 의미KOITA l2013.05.09
- 원자재가격의 상승, 소비패턴의 변화, 첨단기술의 발전 등으로 전자, 정보, 신소재, 유전공학 등 첨단산업부문이 크게 발전함과 동시에 종전의 양 중심의 생산체제에서 질 중심으로 바뀌고 거대화에서 소형화, 집중화에서 분산화, 소품종 다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 ...
- 해양바이오디젤 생산기술개발로 산유국을 꿈꾸다KIMST l2013.05.03
- 자원 고갈과 환경 문제가 점점 심화됨에 따라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에너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까지 기대할 수 있는 대체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토가 좁고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산림이나 농지를 파괴하지 않고 ... ...
- 해외 해양생물자원의 개발KIMST l2013.05.03
- 이탈리아의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1451~1506)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고, 포르투갈의 항해가 페르디 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 1480~1521)이 세계일주 항해를 하던 유럽의 대탐험 시대(Age of Exploration, 대항해 시대라고도 함) 에는 생물학이 거대과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 ...
- 인간이 불안한 이유, 빛으로 찾아내다KISTI l2013.05.02
- 채널이 안 열리는 녹조류의 채널로돕신이라는 단백질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기술이다. 유전공학 기술로 바이러스를 활용해 이 단백질을 유전자의 형태로 신경세포에 주입하면 바이러스가 세포 속으로 들어가 채널로돕신 유전자를 밀어 넣게 된다. 광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이미 꾸준히 진행돼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