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등알
알전구
진공관
혈소판
크리스마스전구
전등
스페셜
"
전구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
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소재가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늘리거나 구부리면 발생하는 정전기를 활용해
전구
에 불이 들어오는 수준의 전기를 만드는 자가 발전 소재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늘림과 굽힘이 동시에 일어나는 사람의 관절 동작에 최적화돼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기술이, 2010년에는 소재 분야인 그래핀 분리가 각각 수상했다. 기본적인 형태의 LED
전구
. LED는 재료가 되는 반도체 화합물에 따라 다양한 색깔을 낸다. 빛의 3원색인 빨강과 녹색, 파란색 LED가 차례로 개발되면서 빛이 필요한 모든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실용적인 발명에 ... ...
별 헤는 밤 망치는 우주쓰레기 어이할꼬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1998년 촬영된 우주 쓰레기의 모습. 우주인들이 국제우주정거장(ISS) 외부에 나갈 때 입는 열 차단 담요다.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달 30일(현지시 ... 지구에 근접하는 소행성을 놓치게 할 수도 있다”며 “인공위성은 누군가가 밝은
전구
를 던져 올린 것처럼 관측을 방해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아미노산 서열분석 작업에 뛰어든다. 생화학자들이 지금까지 연구해온 단백질의
전구
체인 아미노산 서열 정보는,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연구 외에도 서로 다른 종 간의 단백질 서열을 비교분석해 진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연구로 확장가능했다. 막스 델브릭 같은 물리학자들이 대거 생물학으로 ... ...
동북아 과학자들 2차 생성 미세먼지 기초부터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2
2차 미세먼지 생성 과정 규명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여러 원인과
전구
체 물질 중 저감 비용 대비 미세먼지 생성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되는 물질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연구자 주도로 동북아 지역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연구 과제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19 치료제로 떠오른 에볼라 치료제
2020.03.03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었죠. 이게 제가 태어난 배경입니다. 렘데시비르(GS-5734)는
전구
약물로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인체 효소의 작용으로 약효를 지닌 약물 NucTP(맨 오른쪽)로 바뀐다. 각각의 분자구조다. 네이처 제공 저를 바로 사람에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먼저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선택적으로 관측할 수도 있고, 하루에 한 차례는 탑재체가 볼 수 있는 지구면 전체인
전구
관측도 수행한다. 위성 본체┃태양전지판은 한쪽에만, 휠 5개 달아 자세 제어 “천리안 2A호의 기상탑재체와 천리안 2B호의 환경탑재체, 해양탑재체를 하나의 위성에 실을 수는 없습니까?” 최 단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재배 시험을 한 뒤 2021년부터 농민들에게 씨가 공급될 예정이다. 황금쌀은 비타민A의
전구
체(프로비타민A)인 베타카로틴이 함유된 쌀로, 만성 영양부족으로 어린이 21%가 비타민A 결핍인 방글라데시 같은 곳에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매년 50만 명 시력 잃고 100만 명 목숨 잃어 비타민A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노인성 플라그(senile plaque)라는 이름을 붙였다. 뉴런의 시냅스에는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라는 것이 모여 있는데, 세포막을 왔다 갔다 한다. 이 단백질의 한쪽에는 Aβ 펩타이드가 있다. 그런데 이 Aβ가 APP에서 떨어져 나가면 몇몇 효소가 분해를 시작한다. 이때 부서진 조각을 흔히 아밀로이트 ... ...
일본이 시작은 했지만…"한국産 줄기세포 치료제 속속 출격 준비中"
동아사이언스
l
2019.09.26
PSA-NCAM 양성세포만을 분리시켜 암 발생률을 0에 가깝게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신경
전구
세포를 도파민 분비 세포로 분화시켜 현재 파킨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김 교수는 "현재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마치고 임상시험 준비 중"이라며 "내년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