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상"(으)로 총 1,1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2024.05.22
- 없는 의대는 내년부터 아무도 감당할 수 없는 북새통으로 변할 수밖에 없다. 의대 교육의 정상화에는 생각보다 훨씬 긴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100개 수련병원도 심각한 혼란에 빠지고 있다. 전공의의 값싼 노동력으로 수지를 맞추고 있는 수련병원은 이미 심각한 재정난에 빠져들고 있다. 정부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에게 따뜻해야 타인도 보듬는다2024.05.04
- 매 순간이 어려운 것이 당연하므로 오직 나만 힘들게 산다던가 실패하는 건 비정상이라고 보는 오만함 버리기 3) 판단하지 않기(mindfulness): 힘들 때 이런 걸로 슬퍼하고 좌절하는 내가 싫다, 이런 일로 슬퍼하고 좌절하는 나를 싫어하는 내가 싫다 등 계속해서 자신의 마음 상태를 판단하려 들지 말고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2024.04.24
- 수익을 의존하고 있는 현실은 명백한 '비정상'이다. 의대를 2000명이나 증원하면 그런 비정상은 더욱 악화할 수밖에 없다. 자칫하면 수련병원의 기능이 통째로 마비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수련병원을 늘리는 일도 만만치 않다. 수도권은 이미 포화 상태이고 환자가 외면하는 지역에 수련병원을 세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2024.04.17
- 시점에서 소토라십은 암 성장을 47% 억제하는 데 그쳤지만 RMC-7977는 90%나 됐다. 게다가 정상 라스 단백질에 달라붙는 힘이 상대적으로 약해 부작용도 덜한 편이다. 김성호 교수의 제자이자 2001년 김 교수가 예일대 조셉 실레싱어 교수와 같이 만든 회사 플렉시콘(Plexxikon)의 대표로 있으면서 피부암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2024.04.11
- 등장하는 사회악이다. 약탈적 학술지를 가려내는 일은 말처럼 쉬운 것이 절대 아니다. 정상적인 학술지와 약탈적 학술지를 분명하게 가려내는 기준을 설정하는 일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일탈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 와셋이나 오믹스의 경우에는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다. MDPI처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스라이팅'을 극복하는 방법2024.04.06
- 연인의 행동으로 인해 속상하고 화가 날 때에도 되려 그런 반응을 보이는 상대가 어딘가 정상이 아니라고 이야기하거나 다른 사람들 앞에서도 면박을 주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가장 가깝고 자신을 잘 안다고 여겨지는 사람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생각과 감정, 정체성을 부정당하는 일이 잦다보니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2024.03.31
- 가지게 된 큰 이유중 하나는 수술에서 다루는 작업을 다섯 가지로 분리한 것이다. ① 비정상적인 것 제거하기, ② 탈구된 것 복원하기, ③ 뭉친 것 분리하기, ④ 분리된 것 통합하기, ⑤ 자연적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가 그것이다. 또 나름대로 질병 분류법을 확립하기도 하고 오늘날에도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2024.03.27
- 개설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당장 올 여름부터 상위권 대학의 이공계 학과는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다. 의대 진학을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N수생'의 길을 선택하는 학생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 의대 증원 논란으로 휴학을 선택한 지방 의대 재학생들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2024.03.20
- 발현을 촉진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빛의 세기를 5분의 1 수준으로 줄이자 정상 개체도 돌연변이체처럼 성장 속도가 느려졌다. 흥미롭게도 빛의 총량이 같아도 시간대에 따라 빛의 세기 분포가 다르면 성장 속도가 다르다. 장일 조건에서 오전에 빛이 약하더라도 오후에 충분하면 잘 ... ...
- [사이언스게시판] 이종호 장관, 영국과학혁신기술부 장관 면담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1
- 개최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양국은 올해 인공지능(AI) 분야 협력을 위한 '제2차 AI 안전성 정상회의', ICT 분야 협력을 위한 '제1차 한영 디지털파트너십 포럼' 및 과학기술 분야 협력을 위한 '제1차 과학기술 혼성위원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공통 관심분야에서 공동연구와 인력교류 등을 더욱 촉진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