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죄
죄업
위법행위
범법행위
벌
비행
잘못
스페셜
"
죄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수긍하기 어려웠다. 일부에서는 아프리카의 높은 영아 사망률을 들었다. 어린 시절에
죄
다 죽기 때문에 마치 없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이상한 설명이었다. 그렇게 다 죽는다면 해당 형질은 이미 사라졌을 것이다. 어떤 학자는 아프리카에서 ‘우연히’ 이형접합자가 더 많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언제든 도덕을 던져버릴 준비가 되어 있다
2019.07.06
다른 곳에서의 그 사람은 얼마든지 그럴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악독한 범
죄
자일수록 누울 자리를 가려 눕기 때문에 피해자 외의 주변사람들에게는 ‘그럴 사람 아니다. 성실하고 착한 사람이다’는 말을 듣는 편이기도 하다. 결국 그럴 사람 아니라는 말은 적어도 나한테는 나쁜 짓을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
2019.05.27
5월 11~12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2019 넥슨콘텐츠축제(네코제)’가 개최됐다. 사진은 게임 캐릭터 코스튬 플레이 참여자들의 모습. 게임을 즐기 ... 이용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6월호 '게임이 무슨
죄
? 소년 게임 중독 질병일까, 아닐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가해자에 동조하는 사람들
2019.03.30
늘리기 위한 논리로 악용될 소지는 충분히 있는 셈이다. 모두가
죄
를 저지른다면 그것은
죄
가 아니게 될 수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공고한 상호 성폭력 옹호 시스템 속에서 성폭력이 단톡방(메신저 단체 채팅방)의 농담 정도로 삼을 수 있는 가벼운 일로 자리잡게 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
2019.01.29
맞히지 않겠다고 한다면 이는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의사결정권이 없는 아이들이 무슨
죄
가 있는가. ※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학창시절을 떠올리며 어려운 학생들에게 써달라며 장학금으로 내놓았다. 괴씸한 녀석.
죄
로 노벨상에서도 제외돼 그러나 이 사건은 샤츠의 경력에 치명상을 입혔다. 그 뒤 샤츠는 주류 학계에서 철저하게 배제됐고 1952년 노벨상 위원회는 왁스먼 단독 수상을 발표했다. 이에 샤츠가 크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노벨과학상으로 이어질 발견을 하는 사람이 나올지도 모른다. 무엇보다도 열심히 일한
죄
밖에 없는 젊은 연구자들이 절망하는 일은 막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IBS 체제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27개에 이르는 연구단 가운데 비슷한 사태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꼭 밀가루 음식에서 비롯된 게 아닐 수도 있다. 즉 밀, 그 가운데서도 글루텐에게 모든
죄
를 뒤집어씌워 희생양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자세한 내용은 필자가 2014년 ‘글루텐을 위한 변명’ https://goo.gl/MbLL6i 참조). 예를 들어 D게놈에서 유래한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빈도가 높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행사에도 적극 참여했다. 한 업계 모임에서는 그의 설탕 연구가 “버터지방에 씌워진
죄
를 벗겨주는데 도움이 되는 변칙 전략”으로 볼 수 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데이터 신봉자’인 헤그스테드는 엄밀한 연구는 뒷전이고 이런 말을 하고 돌아다니는 유드킨을 지켜보며 한 동료에게 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
2018.02.17
꿈이 어디까지인지 사회가 명확한 선을 긋고 있는 것은 아닌지, 그래놓고는 또 가난은
죄
가 아니라거나 꿈을 크게 꾸라고 설교하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심리학자 갈린스키는 권력은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힘일뿐 아니라, 주변으로부터의 원치 않는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