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스페셜
"
출발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유전자 종류와 유전자가 자리한 염색체 위치는 거의 겹친다. 그 결과 콜레스테롤을
출발
물질로 해서 스피로솔레놀(spirosolenol) 골격을 지닌 스테로이드알칼로이드 분자가 만들어지는 과정까지는 공통이다. ‘식물에도 콜레스테롤이 있나?’ 이렇게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 텐데, 콜레스테롤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긴 터널의 끝자락...초라한 K방역
2023.04.04
성과는 들쭉날쭉했다. 우리는 2020년 1월 20일 이후 모두 8차례의 힘겨운 고비를 넘겼다.
출발
은 심각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중국에 이어 두 번째 감염대국으로 알려졌던 2020년 3월의 상황은 참혹했다. 전 세계 190여 개 국가가 우리 국민의 입국을 거부하거나 제한했다. 그야말로 단군 이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
2023.03.18
반환점을 찍고 돌아오는 길에 물건 두 개를 하나씩 집어 오는 것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출발
하는 길에 물건을 집는 것을 선택했다. 언뜻 보면 비합리적인 행동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연구자들은 인지적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라고 보았다. 할 일이 쌓여 있는 상황은 인지적 자원을 소모한다.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지니너스의 싱글셀 기술개발은 이 작은 DNA를 획기적으로 증폭시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
했다. 분석할 아주 작은 세포에 물과 기름을 함께 흘려보내면 세포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물방울이 만들어진다. 물방울 안에 들어간 세포에 DNA가 작용을 조절하는 리보핵산(RNA)를 잡을 수 있는 화학물질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존 섹스턴 미국 뉴욕대 명예총장에 명예박사학위 수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023학년도 입학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입학식에서는 총 443명의 과학기술인재가 새
출발
을 알렸다. 2023학년도 신입생은 이공계열 413명, 경영계열 30명이다. UNIST는 올해 수시모집에서 14.44대 1, 정시모집에서는 54.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입학 식사를 통해 “UNIST는 세계 10 ... ...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의제와 관련해 국제사회의 흐름에 동참하려는 북한의 행보 또한 산림복구전투가
출발
점이 됐다. 산림복구전투가 시작된 해인 2015년 12월에 개최된 파리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 참석한 리수용 외무상은 “앞으로 10년 이내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에 비해 37.4%를 줄이겠다.”라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써도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는 이들에게
2023.01.07
변할 수 없다고 믿으면 노력하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출발
지점이 비슷하더라도 변할 수 있다고 믿는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더 높은 성과를 이뤄내곤 한다. 이렇게 '믿음'은 주관적이지만 우리의 행동을 주관하며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 ...
[프리미엄 리포트] 태풍 힌남노 능가하는 슈퍼태풍 2~3년마다 올 수도
2022.10.15
아니라 ‘소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는’ 선제적 대응책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
출발
점은 과학이다. 심화하는 기후변화 시대에 날로 진화하는 이례적인 태풍을 과학적으로 잘 이해하고 언제, 어디에, 얼마나 강한 풍속과 얼마나 많은 양의 강우가 발생할지 더욱 정확히 예측하는 일이 필요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상호작용하며 자리를 잡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결과는 쓴맛수용체 구조 이해의
출발
점으로 TAS2R10과 TAS2R14처럼 여러 쓴맛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수용체의 구조를 규명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특정 쓴맛 분자에만 반응하는 쓴맛수용체의 까다로운 입맛은 이들 수용체의 구조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내선 변질된 유엔 ‘세계 기초과학의 해’ 지정 의미
2022.08.31
등을 포괄하는 기초과학은 자연과 생명에 대한 ‘호기심’(curiosity)으로부터
출발
한다. 창의적 탐구로 새로운 지식을 ‘발견’(discovery)하는 과학자에게는 ‘최초의 발견자’라는 명예가 주어진다. 실용성과 경제적 가치를 강조하는 ‘응용과학’과 대비되는 특징이다. 그런 기초과학이 장기적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