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넓이
나비
가로
면적
더위
폭염
스페셜
"
폭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게티이미지뱅크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호주의 스타트업 ‘루민8’에 1200만달러(약 151억 원)를 '시드 투자( ... “국제메탄서약의 목표를 이루면 2015년 파리 기후협정에서 명시된 지구 온도 상승
폭
제한 목표인 1.5도를 지켜낼 수 있다”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논문에서는 이 방법의 경제적, 물리적 한계를 분석하고 있다. 2100년까지 평균온도 상승
폭
을 산업혁명 이전 대비 2도 이내로 막아야 하는 절체절명의 과제를 앞둔 시점에서 해조류를 탄소 흡수원으로 쓰는 건 급한 불을 끌 수 있는 꽤 효과적인 방법처럼 보인다. 그런데 학술지 ‘네이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엔트로피가 줄어든다. 용질이 포함된 용매는 순수한 용매에 비해 얼 때 엔트로피 감소
폭
이 더 크므로 온도가 용매의 어는점보다 더 내려가야 어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어는점 내림과 전기투석을 이용한 이온칼로릭 냉각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식이다. 용매 결정(고체)에 용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휘발유와 경유 가격 역전의 진실
2022.12.21
휘발유 820원과 경유 581원으로 차등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 7월 유류세 인하
폭
을 37%로 확대하면서 유류세 인하액의 격차가 더 커진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휘발유와 경유의 유류세 인하액 격차는 리터당 92원에 지나지 않는다. 리터당 215원에 이르는 주유소에서의 가격 역전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경우 light-restricted feeding) 생체시계가 방해를 받아 일주리듬을 타는 유전자 발현의 진
폭
이 작아지고 그 결과 크레아틴 공회전도 덜해 ATP 수요가 낮아 세포호흡이 덜 일어나고 살이 찐다(왼쪽). K. HoloskI/사이언스 제공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과기원은 지금] 이상훈 DGIST 교수팀 전자약용 신경자극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6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실시간으로 진
폭
, 주파수, 펄스
폭
등의 신경자극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는 신경자극기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바이오닉 사지나 외골격 로봇에 감각신경을 전달하거나 재활, 전자약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 ...
지난해 사망 원인 80%는 만성질환…암·심뇌혈관·호흡기 질환순
연합뉴스
l
2022.10.17
14.7%·2019년 12.6%)를 유지했고, 비만 유병률은 38.3%로 코로나19 유행 전(2019년 33.8%)보다 큰
폭
으로 증가했다. 인구 고령화로 만성질환 진료비도 증가하고 있다. 국내 만성질환 진료비는 2020년 71조원으로, 전년(70조원) 대비 1.4% 증가하면서 전체 진료비의 85.0%를 차지했다. 주요 만성질환에 대한 65세 ... ...
IBS, 美 국립보건원·세인트주드 아동 연구병원과 감염병 연구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참여해 국제 연구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향후 생명과학 분야에서도 NIH와
폭
넓은 교류가 기대된다. 노 원장은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가 NIAID와 공동연구를 수행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공동으로 심포지엄을 여는 등 협력을 시작하자"는 의견을 밝혔다. 파우치 소장도 IBS와 ... ...
코로나 신규 확진 8만4128명...위중증 563명으로 112일만에 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16
밝혔다. 전날 6만2078명보다 2만2050명 늘어났지만 1주일 전인 9일 14만9866명보다는 큰
폭
으로 줄었다. 지난 10일부터 1주일간 신규 확진자 수는 15만1748명→13만7204명→12만8714명→12만4592명→11만9603명→6만2078명→8만4128명으로 일평균 11만5438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463명으로 ... ...
코로나19 신규확진 7만3589명·위중증 '더블링'…누적 확진자 곧 2000만명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2배로 느는 ‘더블링 현상’이 이어졌다. 하지만 27일을 전후로 서서히 하루 확진자 증가
폭
이 둔화하면서 1주일 전 수준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25일부터 이날까지 일주일 간 신규 확진자 수는 3만5860명→9만9252명→10만252명→8만8374명→8만5320명→8만22명→7만3589명으로, 하루 평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