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여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위원장님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찾았다.과학기술계의 키다리아저씨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실로 들어서는 모습이 한눈에 봐도 키가 무척 커 보였다. 실제 키를 여쭤 보니 무려 191cm. 웬만한 농구선수에 뒤지지 않는 큰 키다.“안녕하세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김도연 위원장입니다. 제가 키가 좀 큽니다. 하하~!”환한 미소로 ...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모양으로 피자를 자른다. 단, 이때 부채꼴 중심각의 크기가 같도록 자른다. 이렇게 나눈 피자에 두 가지 색을 번갈아 칠하면, 같은 색으로 칠해진 피자 넓이의 합은 같다. 즉, 이 방법을 이용하면 두 사람은 항상 피자를 똑같이 나눌 수 있다.피자이론이 2차원 평면 분할에 대한 문제라면, 3차원 공간을 ... ...
- 수학자가 남긴 선물,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문제에서는 이 방법을 이용하면 정십이면체와 정이십면체가 비슷한 값이 나와 결과를 한 눈에 알기 힘들어요. 이 때문에 외각을 이용한 것이랍니다. 선생님, 입체도형의 성질은 왜 배워야 하나요?사실 세상에는 정말 많은 물건이나 건축물들이 입체도형과 닮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학교와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온난화가 지속돼서 북극 해빙이 한계 이상으로 녹으면 북반구의 눈이 줄어들게 될 것이고, 태양 단파복사 에너지 반사율이 점점 감소해 지구는 점점 더 뜨거워지게 될 것이다. 해빙 감소와 같은 온난화의 징후는 여러 곳에서 감지되고 있으며, 심한 기상 재해가 모든 계절에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과 ‘보이지 않는 세계’(휴먼사이언스)는 독창적인 설명으로 물리학을 보는 눈을 바꿔준다. 글쓰기 실력을 인정 받은 필자의 문장은 우아하기까지 하다. 둘 다 힉스에 대한 책을 낸 적이 있다.또 다른 이슈는 NASA의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의 화성 착륙. 탐사로봇 큐리오시티는 셀카를 찍은 ... ...
- 치과의사 '아나프니 이뽀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어디로 가는데요? 기원전 3000년 이집트 파라오의 무덤….”치과의사 이뽀브라의 눈이 동그래졌다. 깜짝 놀라 소리를 지르기도 전에 이미 도착했다.“썰렁홈즈! 이…, 이곳에는 왜 온 거죠?”“파라오 무덤에서 치아를 청소하는 나뭇가지를 발견했다고 했거든요. 당신이 잊어버린 칫솔에 대한 ...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태양을 처음으로 관측한 사람이 누군지는 알 수 없다. 그 정도로 오래 관찰 대상이었으며 하늘에서 가장 눈에 띄는 존재임에도 태양은 한참 동안 지구 주위를 도는 ... 지배하는 절대자, 태양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Part 4. 검은 태양이 ...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노화방지 물질이다.이렇게 개발된 물질에 대한 이익은 중국 농업과학원과 공동으로 나눈다. 단순히 개발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이용해 실제 약으로 만드는 것이 최종 목적이기 때문이다. 앞서 이야기한 것같이 윈난은 중국 최대의 약초 재배지다. 중국 농업과학원은 신약 물질을 생산하는 ...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움직이고, 지폐를 좌우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상하로 움직인다. 그 원리는 잠자리눈처럼 오톨도톨한 수만 개의 렌즈가 시선의 움직임과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이라고만 알려져 있다. 미국이 특허를 갖고 있는 이 기술은 2013년부터 쓰일 미국의 100달러 지폐에도 포함돼 있다.77246 위폐 완전범죄로 ... ...
- 영상 신호 스스로 분리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뒤에 있는 TV 화면의 주사선이 엇갈리게 보일 수 있도록 배치, 안경을 쓰지 않아도 두 눈에 각기 다른 영상이 전달되도록 만들어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시야가 굉장히 좁다는 단점이 있다. 한 곳에서 보다가 옆으로 조금만 움직여도 어지럼증을 유발하거나 입체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