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달 표면의 3차원 영상을 찍고 달 표면의 온도와 지각 두께를 측정하며 지구와 달 사이의
우주
환경을 조사한다.내년에는 인도와 미국이 달 탐사에 나선다. 인도는 4월에 525kg의 찬드라얀 1호를 발사할 계획이다. 찬드라얀 1호는 달 상공 100km 궤도에서 2년간 돌면서 극지에 물이 있는지를 확인하려고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또는 기판 자체에 분리 불가능한 상태로 결합돼 있는 초소형의 복합적 전자소자 1958년경
우주
개발과 더불어 미국공군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생물의 유전을 관장하는 유전자의 본체로서 유전정보의 설계도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전공학의 주역이기도 하다한 개의 칩위에 집적한 소자의 수가 ... ...
젊은 운동선수 노리는 '암살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마찬가지로 실험실내에서 발견되어 고감도 증폭기 등에 실용화하고 있는 현상이며
우주
에서는 널리 메이저 증폭작용이 관측되어 이를 성간 메이저라고 한다성간공간이나 성간운(雲) 속에 존재하는 자기장 성간 가스 속의 이온의 라머 반지름(하전입자가 자기장 속에서 하는 원운동의 반지름)은 ... ...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쏘아올린 1kg짜리 큐브샛 ‘리베르타드 1호’는 수명이 50일에 불과했다. 지구를 벗어난
우주
탐사선까지 넓은 의미의 인공위성이라고 본다면 수명이 가장 긴 위성은 30년 전 지구를 떠난 보이저 1호다. 1977년 9월 발사된 보이저 1호는 2020년까지 지구와 교신할 수 있을 전망이다. *밴앨런대지구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한 무리이다 대기권 외역(外域)에서
우주
를 관측하는 망원경 구체적으로는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이 스페이스셔틀로 발사한 구경(口徑) 24m의 광학망원경 지구를 덮고 있는 대기를 가시광선영역(可視光線領域)이나 전파 영역의 전자기파(電磁氣波)는 투과할 수 있으나 그 밖의 전자파는 흡수된다 매번 ... ...
모든 병은 '페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만들 경우 그만큼 재료를 아낄 수 있다. 단열성도 뛰어나서 영하 160℃까지 내려가는 국제
우주
정거장 표면에는 페트재질의 단열층이 붙어있다.페트병은 내용물에 따라 모양새가 제각각이다. 좀 더 들여다보면 페트재질 자체도 조금씩 다르다. 경제성과 기능성을 고려해 목적에 맞는 최적의 조건을 ... ...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가격이 싸고 빨리 만들 수 있어 새로운 기술이나 장비를 개발하는데 유용하다. 정부가
우주
개발진흥기본계획에서 과학기술위성은 3호로 종료하고 그뒤 기술시험용 소형위성을 개발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물론 기술시험위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학임무를 수행하는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천체관측용이거나 그리 요긴하게 사용되지 못했다. 서양에서는 망원경을 통해
우주
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알고 세계관을 변화시켰지만, 조선에서 망원경은 그런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특별한 관심조차 받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조선시대 천문학의 주류는 천체들의 위치를 ... ...
나노부터
우주
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수 있다는 설명이다.김 단장은 지구에 있는 천문대에서 인공위성이나 달에 레이저를 쏴
우주
공간에서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SLR(위성레이저추적소)에 BUPE 기술을 응용하는 연구를 지난 2006년 시작했다.그는 “현재 개발하고 있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절대거리간섭계시스템을 SLR에 ... ...
파나마 운하 확장공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많다 회색의 불투명 광물에 밀도는 49이다 아말콜라이트라는 이름은, 아폴로 11호의 세
우주
비행사의 이름 N A 암스트롱, E E 알드린, M 콜린스를 짜맞추어 붙였다 아메리슘의 화합물 산화수는 +3, +4, +5, +6이 보통이고 이 중에서 +3이 가장 안정적이다 알데히드 유도체의 하나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