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상태기 때문에 질소 기포로 인한
위
험에 언제든 노출돼 있다.감압질환을 치료하기
위
해서는 1기압 100%의 산소를 들이 마셔야 한다. 질소가 혈액으로 다시 녹아 들어가 천천히 배출되게 한다. 저산소증에 시달리던 조직에는 산소를 공급한다. 압력을 높일 수 있는 커다란 캡슐인 ‘재압챔버’에서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과학(물리)교사. 물리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
위
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산 매미소리 도감’ 제작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 ...
밍크고래는 남극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바닥에 있는 10.7m짜리 고래 뼈를 발견했거든요. 연구팀은 해수면에서 1.6㎞ 아래의 모래
위
에 놓여 있던 이 뼈의 주인이 64년 전쯤에 죽은 남극밍크고래라고 추정했지요. 6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뼈가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와, 이 발견이 생태계 연구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하지 않으세요?응…. 입이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많이 내리는 날에는 피자빵과 고로케, 소세지빵을 찾는 사람이 7% 정도 늘었지만, 샌드
위
치는 2% 정도 감소했어요.각 매장에서는 날씨 판매지수를 바탕으로 판매량을 예측해 빵을 다르게 만들어 팔지 못해 버리는 빵이 줄도록 했어요. 그 결과 전보다 매출이 30%나 늘었어요.3. 날씨 금융상품도 있다?!1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길이 무너진다!”안 그래도 좁은 길이 무너지고 있었다. 흔들리는 길
위
에서 폴 일행은
위
태롭게 균형을 잡으며 서 있었다. 메비우스 공작은 한치의 흔들림도 없이 서 있다가 폴 일행에게 말했다.“혹시 또 모르죠. 당신들이 만약 이 문제를 푼다면 잠시 목숨을 연장할 방법이 있을지도….”메비우스 ... ...
[수학뉴스] 선수별 득점을 예측하는 ‘점쟁이 축구 통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득점을 계산했다. 그 결과 종합점수 1
위
는 미드필더인 히바우두, 공격수 중 1
위
는 메시, 2
위
는 호나우두로 나타났다. 이 통계 모형을 이용하면 앞으로 다가올 시즌에 대해서도 선수별 예상 득점을 구할 수 있다.산체스 교수는 “팀이 아닌 선수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춘 수학 연구는 처음”이라며, ... ...
수학과 세상의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수학뿐 아니라 세상의 여러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던 스메일. 그는 진정 편견을 뛰어넘은
위
대한 수학자가 아닐까.IMPA★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루에 있는 세계적인 수학 연구소."스메일은 통상 해오던 방식에 구속되지 않은 담대함으로 새로운 방식과 틀을 만들어 수학문제에 접근한다." _미국수학회 ... ...
답정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야, 나 짜증나 죽겠어.” “왜? 뭐 때문에 그러는데?” “아니 친구들이 자꾸 나보고 미쓰에이 수지 닮았다고 그러잖아. 난 수지 진짜 ... 못생기긴 했지. 네 말에 동의해’라는 식이죠. 어찌 보면 관계가 멀어지는 것을 막기
위
한 배려심이 ‘퇴치법’을 만들어낸 것은 아닐까요(^^).이미지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울트라마린을 만들 수 있다. 20세기까지 오는 동안 색 제조가들이 아름다운 색을 찾기
위
해 가졌던 노력은 끝도 없다. 화려한 색깔과 화가의 정성이 합쳐진 예술품을 우리는 그저 즐겁게 감상하며 경탄하는 것일 뿐. 빨강과 노랑, 파랑의 세 가지 색에서 화가들은 온갖 색을 창조했다. 알폰스 무하의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첨단 연구 인프라를 갖춘 연구중심대학으로 도약하기
위
한 노력이다. 2030년까지는 세계 10
위
권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되겠다는 게 목표다. 2009년 개교 뒤 불과 5년 만에 뛰어난 성과를 이뤄낸 UNIST가 앞으로 세계 과학계의 강자로 설 수 있을지 주목해 보자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