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젖줄, 바다가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하지만 바다를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훼손한 것은 비단 방사성 물질만이 아니다. 크고
작은
기름 오염사고와 함부로 버리는 폐기물, 그리고 남획은 지금도 바다를 위협하고 있다. 5월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바다 오염 사례와, 이를 막으려는 환경운동연합과 그린피스 등 국내외 환경 비정부기구들의 ... ...
턱이 귀가 된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뼈로 소리를 듣고 있다는 증거가 드러났다. 포유류의 조상인 파충류의 아래턱뼈에 있는
작은
뼈 세 조각이 진화하면서 포유류의 귀로 이동했다는 사실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를 증명해 줄 결정적인 화석이 나타나지 않았다.최근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진 멩 박사팀은 중국에서 발견한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주로 중국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에어로졸은 대기를 떠도는
작은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인데, 각종 오염물질이 에어로졸의 형태로 사시사철 한국으로 날아온다.“황사는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사람들이 위험하다고 생각하고 피합니다. 하지만 정작 인체에 더 해로운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사나운 말벌이 무섭지도 않은가 하면서 자세히 관찰해보니 말벌집의 유일한 출입구인
작은
구멍을 통해서 은무늬줄명나방들이 밖으로 나오는 것이 아닌가!혹시 말벌집에 알을 낳고 사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서 연구소 야외 실험실 천장에 새로 만들어지고 있는 말벌집을 가을에 떼어내기로 했다. ... ...
과학기자, PD는 어떤 사람이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선생님이 설명하는 내용 중에 새로운 내용만 적으면 필기 부담이 덜하겠지.” 그리고
작은
계획부터 세워서 지키는 게 중요하다. ‘수학을 하루에 다섯 문제씩은 풀어본다’, ‘과학은 인터넷강의로 하루에 한 단원씩 공부한다’와 같이 지킬 수 있는 계획부터 세운다. 당장에 중간고사를 목표로 ... ...
오르막길 거슬러 오르는 이중원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평행하게 자른 입체도형을 원뿔대라고 한다. 원뿔을 잘랐을 때 생긴 원뿔대에서 원이
작은
면을 밑면으로 하면 종이컵과 같은 입체도형이 생긴다.또 원이 큰 면을 밑면으로 하면 플라스크의 아랫부분과 같은 입체도형이 생긴다. 이뿐만 아니라 오래전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원뿔을 이용해 장갑차를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거야. 내 안에서 ○○○ 해 줄래?나는 바다에 사는 ‘엘리지아’라고 해. 언뜻 보면
작은
잎으로 착각하기 쉬워서 별명이 ‘기어다니는 잎’이란다. 보통 식물만 광합성을 한다고 알고 있지? 하지만 난 동물인데도 멋진 친구 덕분에 광합성을 할 수 있어. 나는 원래 태어날 때는 광합성을 할 수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물질이 한국을 덮을 것이라고 발표했다가 곧바로 잘못된 예측이라고 번복한 적이 있다.
작은
오차라 하더라도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다.우리나라 기상청은 수시로 변하는 기상조건을 고려할 때, 확산모델의 예측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기한을 48시간까지로 보고 있다. 이 시간을 넘어가면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세르 교수는 업적 못지않게 악명으로도 유명하다. 다른 수학자가 발표할 때
작은
오류라도 발견하면 매섭게 지적하는 악역을 자처했기 때문이다.“강연이나 논문 중에 발견되는 실수는 제게 ‘오염 물질’처럼 보입니다. 저는 언제나 그걸 깨끗하게하려는 노력을 할 뿐입니다. 수학 문제 하나를 ... ...
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매우 크다. 그러나 실생활 문제를 다룬 현행 교과서엔 계산 시간을 줄여주려고 이보다
작은
수를 사용한다.예를 들어 통계 분야를 보면 교과서에서는 대상을 주로 100명 수준에서 분석한다. 하지만 실제로 보통 1000명 이상을 다루며, 국가 수준에서는 수십만 명에서 수천만 명까지 다룬다. 현재는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