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스페셜
"
서울
"(으)로 총 4,6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개발한 AI로 망막 안저 사진(왼쪽)으로부터 망막 질환을 찾는 데 성공했다(오른쪽). 분당
서울
대병원 제공 현재로서는 한국인이 북한에 가는 일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진료나 치료는 어려울 것 같다. 하지만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눈의 망막 이미지만을 보고 당뇨병 합병증인 ... ...
[과학게시판] 연구시설, 장비비 통합관리제 설명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도입하는 취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3일과 19일 각각
서울
연세대세브란스 빌딩과 대전 한국화학연구원에서 국가연구시설과 장비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설명회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과학기술 연구자뿐만 아니라 연구지원인력 등 시설과 장비 운영기관의 ... ...
AI·빅데이터 써서 신약개발 기간 절반으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서울
아산병원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 ...
[과학게시판] 정보화교육 강사 대상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활용 교육을 했다. 한국정보화진흥 제공 ■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12일
서울
중구 NIA
서울
사무소에서 고령층과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수행하는 강사 80여 명을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교육을 했다. 키오스크와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교육 방법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면적도 얼마 되지 않는다. 몸을 우리나라 지도라고 보면 대뇌피질은 국회에 해당한다.
서울
의 면적은 전체 면적의 0.6%에 불과하지만 전체 인구(정보량에 해당)의 19%가 살기 때문에 국회의원수는 49명으로 전체 지역구 의원수 253명의 19%에 이른다. 반면 ‘발바닥이 인체의 축소판’이라며 경혈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개발하고도 고가의 비용 문제로 활용하지 못할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9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병원에서 대한의료로봇학회를 설립하고 현재 명예이사장인 김영수 한양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를 만났다. 김 교수 역시 의료로봇을 상용화하려면 인허가와 수가를 정하는 문턱을 낮춰야 ... ...
[과학게시판] 건설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과 업무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제공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4일
서울
서초구 KCL 행정관리동에서 업무협약을 맺었다. 건설연은 KCL이 보유한 옥외시험장과 기후환경시험동, 풍동시험장 등을 활용해 개발된 연구성과를 다양하게 시험할 수 있게 됐다. 양 기관은 사회간접자본 노후화 관련 장기 ... ...
'스마트시티는 미래 도시의 대안인가' 스마트시티MP·공학계 원로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목표를 세분화해 정하고 체계적으로 달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이 제기됐다. 이재홍
서울
대 전기정보공학부 명예교수는 “싱가포르의 경우 스마트시티를 연구할 대 미리 수출을 염두에 두고 수요를 파악해 구체적인 목표 기술과 플랫폼을 준비한 뒤 개발했다”며 “반면 한국의 스마트시티에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놓치기 쉬운 결절도 정확히 찾아낸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허가를 받고 올해부터
서울
대병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루닛 스코프처럼 치료 후 반응성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는 AI다. 이번에 시카고에서 초록을 발표하는 연구결과 내용이다. 면역관문억제제는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구축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기대다.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김영태
서울
대 흉부외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흡연을 하지 않아도 폐암을 일으키는 원인인 융합유전자 유전체 돌연변이의 생성 원리를 규명해 30일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폐암은 전 세계 암 사망원인 1위인 암으로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