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약"(으)로 총 4,5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07.11
- 모습을 드러낸 거예요! 제대로 보이는 건 10마리 내외였지만, 김미연 연구원은 약 30마리의 무리가 함께 있을 거라고 추정했답니다. 남방큰돌고래 무리들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4호 제공 ● 관찰하기! 수십 마리 남방큰돌고래를 구분하는 비결은? “저기 제돌이가 있네요.” 김미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2018.07.03
- 은하나 은하간공간과 물질을 주고받는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별이 생겨난다. 약 46억 년 전 태양계를 이룬 물질도 거슬러 올라가면 우리 은하를 넘어 다른 은하와 은하간공간에 이를지도 모른다. 우리가 마시는 물 한 모금에 100억 년 전에는 뜨거운 WHIM에 있었던 산소 원자가 들어있다는 게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동아사이언스 l2018.07.01
-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4%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이고, 논문 발행 수도 2017년 기준 약 6만5000편으로 다른 국가들을 가볍게 앞지르고 있다. 수만 보면 ‘메이저 과학 국가’로 이번 기사에서 제외된 일본(8만 9000편)을 따라잡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2017년 논문당 피인용지수는 세계 ... ...
- 멸종위기종의 천국 DMZ, 생태공원으로 거듭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8.06.22
- 통치를 받게 됐다. 이후 1949년부터는 각각 다른 정부가 들어서면서 분단 국가가 됐다가 약 40년 뒤인 1990년 10월 3일에서야 비로소 통일이 됐다. 분단을 겪으면서 독일에도 DMZ가 생겼다. ‘철의 장막’이라 불리는 3m 높이 철조망이 동서를 막고 있었고, 2km 떨어진 지역까지 비무장지대로 정해졌다. ... ...
-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06.21
- 서로에게 익숙하지 않은 질병을 옮길 수 있다. 이때 가장 취약한 건 바로 면역력이 약한 아동들이다. 이런 문제 때문에 남북 어린이들의 질병 패턴에 관심을 갖게 됐고, 통일의학까지 이어지게 됐다. 신희영 소장 제공 Q. 마지막으로 한말씀 부탁드린다. 남북한 의료 교류를 무조건적인 남한의 ...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2018.06.12
-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경제적 지원과 핵 폐기 보상 청구서를 감안하면 해체 비용은 약 21조 원으로 늘어난다. 해체 비용은 북한 내에 비공식 시설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06.11
- 완료한 사례 중 가장 잘 알려진 시설은 벨기에의 ‘유로케믹(Eurochemic)’이다. 1990년부터 약 20년에 걸쳐 유럽연합(EU)에서 시범사업으로 지정해 해체를 진행했다. 길이 80m, 폭 27m, 높이 30m인 유로케믹은 영변 재처리 시설의 규모(길이 180m, 폭 20m, 높이 6층 건물)보다 훨씬 작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사망한 뒤 꺼내 측정한 뇌의 무게는 1230g으로 부피로 환산하면 1190cc 내외다. 노화로 뇌가 약간 줄어들 수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남성 평균에 못 미치는 크기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2018.05.29
- ’로 설명할 수 있다. 필자가 밀가루 음식 섭취를 확 줄이자 비염 증세가 사라진 것도 위약 효과일지도 모른다. 만일 그렇다면 대단한 ‘마음의 힘’이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소화기내과의 크누트 룬딘 교수는 밀가루 음식 관련 질환이 마음의 병일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밀가루 음식(글루텐)이 ... ...
- [표지로 읽는 과학] 연구책임자-신진연구자 온도차 줄일 수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5.20
- 호 네이처는 ‘건강한 연구실 만들기’라는 주제로 특집호를 꾸렸다. 네이처는 지난해 약 25만 명에 이르는 구독자들에게 메일을 보내 현재 몸 담고 있는 연구실의 문화적, 제도적 환경을 설문조사했다. 연구책임자(PI)급 과학자 655명과, 박사후연구원과 대학원생 등 신진 연구원급 2632명 등 총 328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