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d라이브러리
"
다른점
"(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약 36억 년 전 광합성을 하고 부산물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박테리아가 나타났고 그 뒤 이 박테리아를 포획해 세포내소기관인 엽록체로 만든 진핵생물이 식물로 진화해 오늘날 푸른 지구를 만들었다. 멋진 시나리오이기는 하지만 증명하기는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던 이 가정이 실제 사건이었음을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제2의 지구를 찾으려는 노력이 드디어 시작됐다. 그동안 발견한 외계행성은 목성처럼 덩치가 크거나, 작은 행성이라도 별 근처에 있어 생명체를 기대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최근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1년 안팎의 공전주기를 갖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탐색한다.3지난 3월 6일(현지시각) 미국 플 ... ...
[신경과학]남녀는 아름다움 느끼는 방식도 다르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미술작품 전시회를 둘러보면 관람객의 반응이 제각각이다. 작품을 유심히 감상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대충 보고 지나치는 사람도 있다. 이런 차이는 예술작품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는가 여부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스페인 발레아레스대 카밀로 셀라-콘드 교수팀은 예술작품이나 풍경을 볼 때 아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줄거리1918년 미국의 뉴올리언즈. 제1차 세계대전의 포연이 채 가시지 않았던 그해 여름에 80세 외모를 가진 사내아이가 한 명 태어난다. 아이의 이름은 벤자민 버튼(브래드 피트 분). 출생 때부터 얼굴에 새겨진 쭈글쭈글한 주름살과 관절염으로 굽어진 팔다리는 영락없는 노인의 모습이었다. 출산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지난 1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여덟 쌍둥이가 건강하게 태어나 화제를 모았다.별도 여러 쌍으로 태어난다.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할까.‘지구의 어머니’ 태양과 달리 약 50%의 별들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만큼 쌍둥이 별에 해당하는 쌍성이 많다는 얘기다. 쌍성은 서로의 질량 중심을 돌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단진동은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가 에너지의 손실 없이 계속 전환되는 이상적인 진동이다. 지표면의 자기장은 지구의 중심에 커다란 막대자석이 놓여 있는 것 같이 양극이 있다. 단진동과 지자기는 자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어떤 물체에 힘 ... ...
정말 궁할 때 이용하는 페트병 냄비와 우유팩 냄비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냄비대신 사용하는 페트병와우~ 이제 완연한 봄이다. 따뜻한 햇볕과 예쁜 봄꽃들을 구경하러 나들이를 가야겠다. 오늘의 점심은 간단한 컵라면으로 하자. 그런데 아뿔싸! 코펠이 없다. 물을 끓일 코펠을 안 갖고 왔다. 물을 끓일 수 없으니 오늘 점심은 굶어야 하나. 아니 전혀 그렇지 않다. 코펠을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과학과 수학을 잘하는 비법은 목차를 읽는 것에서 시작한다.2009년 1월부터 ‘교과서에 길이 있다’ 연재를 물리, 수학, 화학, 지구과학, 생물 순으로 5회에 걸쳐 대형 브로마이드와 함께 제공한다. 이번 지구과학 편에서는 고등학교 지구과학Ⅰ에서 배우는 핵심 내용을 먼지를 따라 떠나는 여행의 형 ... ...
“내 뿔을 조심하세요!” 트리케라톱스의 뿔은 싸움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크아앙~~!”등골이 오싹해지는 저 소리를 들으니 이 곳이 공룡들이 세상을 누비던 중생대라는 사실이 실감납니다. 마음을 굳게 먹어도 여기저기서 들리는 공룡의 포효에 등골이 오싹해지는 게 사실인데요, 그렇다고 인터뷰를 포기할 순 없죠! 그저 티라노사우루스가 절 발견하기 전에 무사히 인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필리핀 로스바뇨스에 위치한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는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대비해 벼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우리나라는 이 연구소의 도움으로 녹색혁명을 일으켜 1976년 쌀 자급에 성공했다. 제2의 녹색혁명을 일으킬 준비를 하고 있는 현장을 돌아봤다.“40년 뒤 전 세계 인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