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Ⅰ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다이달로스와 이카로스 부자를 아는가.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는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에 못지않은 물건을 발명해낸다. 특히 인류의 삶을 크게 ... 이카로스 부자를 이 미궁에 가두어 버립니다. 다이달로스는 제 손으로 만든 감옥에 갇힌
셈
이지요. 감옥, 그것도 자신이 만든 감옥…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무려 27개의 뼈로 구성돼 있다. 전체 2백6개인 사람의 뼈 중 25% 이상이 양쪽 손에 몰려있는
셈
. 우리는 이렇게 정교한 손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것은 물론, 손가락 끝에 분포한 신경 덕분에 섬세한 촉각을 마음껏 향유할 수 있다. 어둠 속에서도 손을 더듬어가며 눈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는 점을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구했다 하더라도 원래부터 해가 존재하지 않다면 어떻게 될까. 모든 일이 헛일인
셈
이다. 따라서 방정식의 근사해를 계산하기 전에 먼저 해의 유무를 결정해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해 아직도 수학자들이 연구하는 방정식이 많다. 유체역학의 대표적인 지배방정식인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은 해의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4배밖에 안되는 거죠. 즉 몸집이 증가한 것에 비해서 표면적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감소한
셈
입니다. 이런 현상은 몸집이 커질수록 점점 심해지고, 이로 인해 외부와의 물질교환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는 길은 세포분열을 해서 각기 몸집이 작은 세포들로 나눠지는 겁니다(그림1) ...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나라가 됐다. 정보보호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에설 좋은 기회를 잡은
셈
인데, 앞으로 차세대 암호시스템의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한편 연구실은 영재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 왔는데, 1990년대 초부터 세계수학경시대회 준비반인‘한국수학올림피아드 학교’를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아닌 것이다. 단지 비만과의 ‘전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무기’가 하나 더 생긴
셈
이다.비만의 약물치료법은 기존의 치료방법에 비해 효과가 크지 않고 부작용의 우려도 있다. 하지만 비만약의 미래가 그렇게 어둡지만은 않다. 고혈압이나 당뇨병도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이 개발되기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신카이 6500’은 6천5백m까지 잠수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현재 최심해 유인잠수정인
셈
이다. 그 외에 1만1천m까지 잠수 가능한 무인잠수정 ‘가이꼬’(Kaiko)도 활약하고 있다. 현재 전 심해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연구할 수 있는 국가는 일본뿐이라고 얘기해도 과언이 아니다.우리나라의 경우 1996년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LHC)는 원형가속기인데 그 둘레만도 27km에 달한다. 웬만한 중소도시 크기인
셈
이다. 이 거대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과 장비로 채워져 있다. 따라서 거대 장치를 건설하는데는 다양한 분야가 투여될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일까.포항공대 가속기를 예로 들어보자(그림). 여기에는 우선 ... ...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수상자가 47명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상당수가 과학기술과 무관한 길을 걸어가고 있는
셈
이다.전국과학전람회 계기로 기생충 연구그러나 성공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육교수는 제1회 대통령상의 영예를 얻은 임한종 박사(69)를 소개했다. 전국과학전람회에 참가할 당시 경기중학생 5학년(현재 ... ...
② 생명 탄생의 기원지 해저 열수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황화가스를 제거하면서 유기물을 만든다. 관벌레로서는 가만히 앉아서 배가 불러오는
셈
이다. 사실 관벌레는 입이나 소화기관은 없지만 체내에 존재하는 수십억 마리의 박테리아와 공생관계를 통해서 삶을 유지해나가고 있는 것이다.열수의 생태환경을 대표하는 또다른 미생물은 분출구에서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