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빨리 해서 찍으면 된다. 즉 평소에 초당 36프레임의 사진을 찍는다면 이번에도 초당 3백6
0
프레임의 사진을 찍으면 된다. 여기에 덧붙여 흙먼지는 발바닥 위로 조금만 올라오도록 하는 것도 자연스런 동작을 위해 잊지 말고 고려해야 할 점이다.공룡끼리 싸우는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서 코모도나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중 뻘이 발달하고 조수의 흐름이 빨라 쉽게 묻힐 수 있는 지역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8
0
년대 초에 인양한 신안 앞 바다의 송·원나라 무역선과 완도 어두리 앞 바다의 고려 초기 화물운반선이 가라앉아 있던 장소는 모두 이런 조건을 갖추고 있다. 남해안에는 기록으로나 지형으로 보아 묻혀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상 증가시켰다.한편 이때까지 액체화되지 못한 기체가 있었다. 바로 헬륨이다. 헬륨은 2
0
세기 들어서야 액체화됐다. 19
0
8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오네스는 헬륨을 액체화함으로써 냉동액체 중 끊는점이 가장 낮은 온도인 4K까지 극저온의 영역을 넓혔다. 이로써 ‘모든 기체는 온도를 내리면 결국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먼저 MEMS 미개척지를 개발하는 자가 21세기의 주인공이 되는 것이다.현재 세계적으로 5
0
여개의 MEMS 제조연구센터를 포함해 다수의 MEMS 설계연구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이 도출되는 MEMS의 응용 아이디어는 빠르게 실현될 것이다. 이들 센터를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의 경우 수백개의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돌리는 회수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현대의 일반적인 크랭크 길이, 즉 1백7
0
mm(산악자전거의 경우 1백75mm)가 모든 자전거와 선수에게 적정하지 않으리라는 점이다. 다리가 길다면 상대적으로 크랭크의 길이도 길어야 한다는 것이다.그러나 아직 과학적으로 크랭크 길이와 경기력과의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환산하면 1천87분이다. 구하는 식은 1
0
4.7
0
+(1
0
87-54
0
)×(36
0
/595.67) = 435.3°이다.이 값에서 다시 36
0
°를 빼면, 75.3°다. 즉 이 시각의 목성 중앙경도는 75.3°이다. 대적반은 목성 경도 75° 부근에 있으므로 이때 대적반을 볼 수 있다. 대적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실제로 축구경기는 지속적으로 달리기만 계속하는 운동은 아니다. 축구선수는 3
0
-5
0
m를 달리는 단거리 선수처럼 훈련해서 짧은 순간 빠르게 움직이는 과정이 중요하다. 또 나머지 시간 동안 피로를 빨리 회복해 다음 움직임에 대비해야 한다.또 신박사는 유소년 시기에 축구기술을 배울 때 패스가 ... ...
NT - 나노 세계에서 펼쳐지는 물질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중요성을 인식하고 2
00
1년 7월 국가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안을 확정했고, 앞으로 1
0
년 간 국가핵심기술로서 연구투자가 이뤄져 21세기 산업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나노기술의 핵심은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한 혁신적 연구에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기술은 창의력을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속설이 과학적으로는 근거가 있다는 얘기다.그렇다면 비가 오는 날처럼 마찰 계수가
0
인 상황에서는 공에 회전을 줄 수 없을까. 그렇지 않다. 아사히 교수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의 회전수는 공의 무게중심에서부터 발까지의 거리에도 관련있기 때문이다. 비오는 날에도 공의 무게중심에서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자리수는 날의 간지가 나타내는 수에 생일을 합한 후 3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다. 그런데 6
0
갑자나 달과 날의 간지 수를 알기 위해서는 만세력이라는 다소 복잡한 달력을 봐야 알 수 있다. 그렇다고 고민하지 마시라. 대부분의 토정비결 책에서는 이 숫자들을 정리해 표로 만들어 놨기 때문에 손쉽게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