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0,052건 검색되었습니다.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06
- 지구에 없던 새로운 생명체가 탄생했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화학과 플로이드 롬스버그 박사팀은 DNA에 2개의 인공 염기를 지닌 새로운 인공 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네이처’ 5월 7일자에 발표했다.세포핵 안에는 유전 정보가 든 DNA가 있다. DNA 가닥에는 A(아데닌), T(티민), C(시토신), G(구아닌) ... ...
- [과학뉴스] 고층빌딩에 불나면? “화장실로 대피!”과학동아 l201406
- 고층 아파트에서 불이 났을 때 탈출할 수 없다면 화장실로 피하는 걸 고려해 보자. 국내 연구진이 화재시 화장실을 대피공간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신현준 화재안전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팀이 건물 내 화장실을 화재시 대피공간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 ...
- 1991년 노벨 생리의학상 에르빈 네어 박사 “좋은 과학자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바로 호기심”과학동아 l201406
- 으며 “내가 평생 해온 주제는 ‘전기’”라며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것은 기본적인 물리 지식을 얻고 숫자에 강해지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얼마 전에도 인터넷을 뒤져 가며 직접 지름 1m 크기의 물레방아를 만들어 5kW급 수력 발전기를 설치했다고 한다. “제가 재생에너지에 관심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때문이다.이번에는 반대 과정을 실험했다. 새끼 쥐가 특정한 상자에 들어갈 때마다 전기자극을 줬더니, 쥐들은 점차 이를 기억하고 상자를 피하게 됐다. 이후 실험 쥐의 절반에게 특수한 처리를 해 뉴런의 재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했다. 즉 새끼 쥐의 뇌가 어른 쥐의 뇌로 ‘교체’되지 않도록 한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06
- 많은 부분이 아직 연구 되지 않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우주 탄생 이전은 어떨까. 기자가 처음 우주의 크기에 대해 배웠을 때 논리적으로 도저히 이해되지 않았던 부분이 우주 탄생 이전이었다. 아무 것도 없는 ‘무無’의 한 점에서 거대한 폭발이 일어나 지금의 광활한 우주가 되었다는 말이 ... ...
- 역겨움을 역겹게 느끼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406
- 위염이 심해서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했던 적이 있다. 위장이 많이 망가져서 아무것도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니 평소에는 그렇게도 좋던 음식 ‘냄새’가 구역질이 날 정도로 역겨워졌다. 음식을 보고 역겨움을 느끼게 되면 자연스럽게 위에 부담이 되는 음식들을 먹지 않게 될 테고 따라서 위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06
- 과학동아 서포터스인 경기 용인외대부고 과학동아리 ‘COSMOS’와 ‘Co-WHIZ’가 성영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를 만났다. 기술에 대한 호기심으로 똘똘 뭉친 이들은 깨끗하면서도 편리한 미래를 열어줄 화학생물공학의 매력에 푹 빠졌다.▶ 응용에 살고지고과학과 기술은 현실에 이로워야 제맛!Q 화학 ... ...
- Intro 수학으로 세우는 필승전략! Brasil 월드컵!수학동아 l201406
- “대~한민국! 짝짝짝 짝짝!”축구로 전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월드컵이 곧 시작된다! 2014 월드컵은 자타공인 축구 최강국인 브라질에서 6월 13일부터 7월 14일까지 열리게 된다. 우승 0순위로 꼽히는 브라질은 홈 이점을 살려 이번 월드컵에서 우승할 수 있을까? 그리고 지난 2002년 4강 신화에 이어 2010년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06
- D-15 그림으로 보는 월드컵 별별 기록!월드컵은 올림픽과 더불어 전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스포츠 축제로, 한 가지 종목으로 이뤄진 세계 대회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대회를 시작으로, 올해로 84년째다. 지난 80여 년에 걸쳐 월드컵 대회는 무려 19회나 열렸고, 이를 통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06
- 천문학자들은 신화 속의 이름을 좋아한다. 태양계에서 발견된 행성과 위성에도 신화 속 이름이 많다. 태양에서 5번째로 먼,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목성)의 이름은 주피터(그리스 이름 제우스)다. 7번째 행성은 하늘의 신(천왕) 우라누스고, 8번째로 행성은 바다의 신(해왕) 넵튠(그리스 이름 포세이 ... ...
이전398399400401402403404405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