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5,404건 검색되었습니다.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12
해양프로그램(National Sea Grant College Program)을 시작해 29개 주 또는 지역 프로그램과 연계
발전
시켰다.또한 최근 UCSB(산타바바라 소재 캘리포니아대학)의 해양과학연구소 내에 해양생물공학센터(Marine Biotechnology Center)가 설립됐다. 또 메사추세츠주 우즈 홀(Woods Hole)해양연구소의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것. 일본은 가시와자키 - 가라와 계획을 수립, 2010년까지 총 2백억달러를 투입해 원자력
발전
소를 40개 더 증설할(현재 38개) 것이라고 한다.아무튼 올해는 핵무기의 감축과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논의가 줄기차게 진행돼 왔고, 또 가시적인 성과도 상당히 많았던 해로 기억될 것이다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11
것인가. 그 변혁의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인가.그러나 과학자들은 이러한 혁명적 기술
발전
의 한계를 이미 그리고 있으며, 어느덧 거의 다다랐다는 것을 알았다. 도저히 뛰어넘을 수 없는 기술 장벽이 20세기의 끝과 함께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다가오는 21세기는 어쩌면 중세와 같은 긴 기술동면의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11
단말기에서 해석할 수 있는 문자)를 조합하여 정보를 제공한다.냅립스방식은 북미에서
발전
,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화상자체를 모두 코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 즉 원을 표현하고자 할 때 단말기에 원 지름의 양 끝에 해당하는 두 점의 좌표와 원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11
마르스옵서버를 시작으로 미국과 옛소련 양국 중심에서 본격적인 국제협력 시대로
발전
할 전망이다. 소련이 붕괴됨에 따라 러시아가 화성탐사의 맥을 잇고는 있지만 워낙 돈이 많이 들어가고 기술도 정밀해야 하므로 혼자서는 감당하기 힘들다. 이러한 사정은 미국도 마찬가지. 당장 돈을 벌 수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11
가스다. 그러므로 소규모는 우리 인간들의 코로부터, 크게는 석탄이나 기름을 사용하는
발전
소나 공장의 굴뚝으로 부터 나오는 배기가스 속에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포함돼 있다. 가정의 부엌 그리고 도로위에서 달리고 있는 모든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나온다.탄산가스에 대해 지금까지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11
놓고 그 중에 어떤 것을 지적함으로써 명령을 실행하는 메뉴방식이 등장했다. 여기서 더
발전
한 것은 화면상에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심볼(아이콘이라고 한다)을 표시해 두고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화살표를 움직여 원하는 그림을 지적해주면 그 명령이 수행되는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11
태백제비꽃은 어디에 가면 볼 수 있으며 그 생태는 어떠하다는 지식을 정리하고
발전
시켜야 할 필요를 절실하게 느꼈다. 아마추어 활동이 활성화된 일본만해도 둥굴레회 제비꽃회 등이 상당수 존재하며 아마추어가 둥굴레 하나를 좇아 학위를 받기도 한다.또하나 중요한 측면은 자성식물에 대한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11
극미세기술 극저온기술 초박막기술 등 극한기술의
발전
이 수반되어 반도체 기술의
발전
을 가속화할 것이다.기억소자는 금세기 내에 1GD램에 달하는 거대한 집적화를 이루고, 고집적 트랜지스터의 한계라고 예측되는 1GD램 이후에는 새로운 차원의 집적화 기술개발을 위한 노력이 경쟁적으로 나타날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그래서 관련 유전병의 원인조사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업적은 의학
발전
의 한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또한 염색체 21의 국제공동연구는 일종의 시범게놈연구였다. 사람 염색체 21q의 유전지도 작성과 방대한 유전문자 판독의 실현성, 현 과학기술의 수행능력과 문제점을 타진한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