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근 3백만년에 달하는 장구한 인류
역사
에 비하면 극히 짧은 시간에 인류는 스스로의
역사
에 종지부를 찍을지도 모르는 핵전쟁의 위험을 안게 되었다. 물론 핵무기가 있음으로 해서 그 엄청난 위력과 불을 보듯 뻔한 결과 때문에 국지전은 있을지언정 전면적인 세계전쟁은 오히려 억제되는 효과가 ... ...
걸프전 환경테러 후유증 심각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보도에 따르면 쿠웨이트 국민의 10%가 천식을 앓고 있다.인류
역사
에 '환경테러(ecoterror)'라는 가공할 신조어를 남긴 걸프전이 휴전으로 일단락된 것도 어느덧 여덟달째. 세계를 뒤흔든 포성이 멎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기름을 뒤집어쓴 채 죽어가던 가마우지의 충격적인 영상조차 희미해져가고 ... ...
병마를 추적하는 첨단의료기기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발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인체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료기기는 오랜
역사
를 두고 꾸준히 발전해 왔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확한 진단을 내리려면 우선 신체내의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한 의공학적인 발전이 새로운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연구는 소위 '상대성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만들어 냈다.등가원리의 발판
역사
적으로 등가원리(equivalence principle)는 중력장 이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정교하게 이 원리를 확인하기 위해 진자를 사용한 실험이 이루어졌고 이 원리가 경험적인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1907년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지의류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데 그 연구를 하면서 공생현상에 강한 흥미를 갖게 되었다.
역사
적으로 봐도 그가 내린 공생에 관한 정의가 가장 광범위하다. 그는 다른 생물과 함께 생활하는 현상 전부를 공생이라 불렀다. 물론 기생도 모두 여기에 포함됐고 겨우살이나 기생목이 보여주는 ... ...
카파토키야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거치고카파토키야는 선사시대의 네오리티크(Neolitique)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장구한
역사
를 자랑하고 있다. 그후 고대의 히타이트 프리그 킴메를문명을 거쳐서 중세에는 아수르 리디아 우랄투르 페르시아제국의 지배를 각각 받게된다. 근세에는 비잔틴제국과 오스만투르크제국의 영토로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중인데 지금까지는 틀린 곳이 보이지 않고 있다. 증명이 옳다는 것이 판명되면 수학의
역사
를 통틀어 대단히 놀라운 업적을 이룩한 것으로 평가될 것이다. 이제부터 이 문제의 근원과 풀이에 대해 알아보자.케플러의 눈송이연구에서부터케플러 하면 누구나 천체물리에서 나오는 행성의 운동법칙을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 곳을 떠났었다.M31은 우리 은하 외부에서 발견된 최초의 천체이기 때문에 천문학
역사
속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24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Edwin Hubble)은 당시에 세계에서 제일 큰 망원경인 윌슨산 천문대의 지름 2.5m 망원경을 이용해 M31의 장노출 사진들을 찍었다. 이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다.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한글과 구텐베르크보다 2백년이나 앞섰다는 인쇄 기술의
역사
를 가진 우리나라가 정작 한글 서체를 일본에서 수입해서 쓰고 있다는 사실은 부끄러운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한글서체 개발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영문의 경우는 알파벳 대소문자와 숫자, 몇가지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에서도 불을 사용한 흔적을 찾을수 있었다고 한다.이처럼 불의 사용은 인류의
역사
를 시작하는 위대한 첫걸음이었다. '인류가 처음으로 어떻게 불을 발견했을까'라는 주제로 토론이 벌어졌다. 다음 네 발표자의 의견 중에서 가장 불확실한 것은?① 궁금이 : 인간이 최초로 만났던 불은 벼락이 나무에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