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른 목자의 카우 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커다란 일익을 담당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그러기에 요즈음의 축산학의 발전방향은 최신
유전
공학을 이용한 가축의 질병치료, 체형의 변화, 가축수의 증대에 그 역점을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통계학으로 분석한 육종기술을 보다 세련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러한 때에 축산학을 학문으로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굴드'박사의 평형급변론(Theory of Punctuated Equilibrium)이다. 이는 생물의 변화가
유전
적 혁명과 염색체 이상 등 우연하고도 급격한 변화에 기인한다는 사상으로서 어떤 생물에서 다음에 어떤 생물이 출현할 것인지 예측할 수 없다는 이론. 적응에 의한 계속적인 모습변화는 평상시에 일어나는 것이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보건수준의 향상등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 초경연령의 조숙에 작용하는 인자로
유전
생물학적 요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정되고 있으나 영양상태 역시 큰 요인으로 추정된다.월경이 일어나는 주기를 월경주기라고 한다. 월경주기는 평균 28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 나라 여학생들의 평균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이외에 최신과학분야로 세포공학
유전
자공학 초고압물리학 극저온물리학 원자 및 태양에너지 레이저 플라즈마 등에 북한과학기술자들은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우물안 개구리'수준에서 벗어나야북한은 '3차 7개년 계획을 수행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달리 '피해가 나타나는 문턱' 이 없다는 점이다. 즉 세포와 조직이 죽는 것이 아니라
유전
자가 손상받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작은 양의 방사선이라도 해롭다"는 이야기다.방사선에 의한 암발생이 확인된 최저 방사선량은 1백라드이다. 따라서 그 이하의 방사선이 암발생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 ...
녹색 식물의 탄생 How Green Plants Began?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결합해 동·식물을 만드는 복잡한 세포가 된 것이 아닌가하고 생각한다. 세포핵은
유전
기능을 수행하던 박테리아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 창출을 전담하던 박테리아 세포에서 그리고 리보솜은 단백질을 생산하던 박테리아 세포에서 출발했다는 등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특히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공업화학이나 화학공학과는 적어도 일정한 간격이 있어 보이는
유전
·생물공학에 입문하면서…4년의 대학생활을 마치고 대학원생이 된 지도 벌써 7개월이 되었 ... 산업화를 위해 더욱더 많은 연구원과 기술자가 요구되고 있다. 창의력을 가진 후배들을
유전
·생물공학의 세계로 초대한다 ... ...
발암성 농약 수출품에 마구사용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위하여 수확 후에 유기인계통의 '마라톤'이라는 살충제를 쓰고 있었다.마라톤은
유전
자에 상처를 내어 암을 발생시키거나 자손에 이상이 생기게 할 우려가 있는 무서운 약품이다. 이 약품은 쌀 밀 콩에 생기는 전형적인 해충 바구미를 없애기 위해 쓴다. 이 무서운 약품도 벌레에 내성이 생겨 83년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수행하던 중 미국과 일본에서 거의 동시에 BaO와 TiO₂를 1:1 몰비로 혼합한 재료가 높은
유전
율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이어 1947년 로버츠(Roberts)가 BaTiO₃세라믹스에 높은 직류전압을 가하면 압전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 세라믹스 압전 재료로서의 길을 열게 되었다. 그후 PbZrO₃와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탐사 등에도 활용했다. 프랑스 역시 각종 무인잠수정 및 해저 로봇을 개발하여 해저
유전
개발 등에 활용하고 있다.소련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 분야의 기술개발 활동이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1969년도에 2천미터급 잠수정 3척을 건조한 바 있다. 또한 1988년도에는 6천미터급 심해잠수정을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