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내가 쓴 화장품이… 해안을 더럽힌다고?’(2016.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1N036‘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2012.8)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208N06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투우와 플라멩코로 알려진 정열의 나라 스페인, 그중에서도 피카소와 가우디의 흔적을 거리 곳곳에서 볼 수 있는 바르셀로나는 한국인이 가장 가고 싶어 하 ... 오픈한다고 해요. 그래서 제게 새로운 목표가 생겼습니다. ‘CRG 오픈 데이에 테라스에서 지중해를 바라보며 하몽을 먹는 것’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90세를 넘긴 것을 기념하며, 특집에 90세 즈음의 어르신들을 담았다. 촬영에 흔쾌히 응해주신 전북 순창군 순창읍의 이영란 할머니, 김복순 할머니, 황금순 할머니, 신창우 할아버지, 순창군 복흥면의 서영애 할머니, 박기서 할아버지, 전창식 할아버지, 이종수 할아버지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눈으로 확인하니 신기했다. 테슬라코일은 고주파 고전압의 진동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쓰이는 유도 코일이라고 한다. 220V를 80만V로 만들 수 있다니! 놀라웠다.#세계에서 두 번째로 상용화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도 타 보았다. 하루 견학으로는 시간이 부족했던 국립중앙과학관, 여름방학이 오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땅에서 원격으로 조종하는 무인 항공기를 의미해요. ‘벌과 같은 곤충이 윙윙거리는 거리는 소리’라는 뜻도 있지요. 벌이 내는 소리와 드론의 ... 조각을 빼낼 수 있지요. 마음이 조급해 너무 힘을 주면 부품이 부서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답니다 ... ...
- 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함께 흐른다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에 도시가 둥둥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하지만 이미 다른 박쥐가 다녀가 꿀이 없으면 꽃잎의 방향을 바꿔 볼록한 모양이 되도록 해요. 그럼 박쥐에게 도달하는 초음파가 이전과 달라져 박쥐는 멀리서도 꿀이 없다는 걸 알고 다른 꽃을 찾아가지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벌부터 도마뱀까지! 최고의 사랑 배달부는 누구?Part 1.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는 이 문서는 현재 200쪽에 달합니다. 구글의 검색 알고리즘을 응용해 웹페이지의 기록 데이터로 뉴스의 신뢰도를 따지자는 의견이 여기서 나왔죠.2017년 1월 차미영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가 만들어 플로스원 저널에 실은 소문 판별 알고리즘도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차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4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점? 또, 시작 전후에 과학 기술이 사회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전문가와 함께 토론해 볼 수 있어.편 : 누가 신청하나?이 : 중학생 이상의 과학동아 학생 독자. 근데 이거 진짜예요? 저 집쟝님과 이런 대화 나눈 적 없는데.편 : (‘Save’ 버튼을 누르고 문서 작성을 종료한다.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발견하지 못했다던데, 설명해 달라버틀러: 초대칭성은 힉스 입자의 질량 문제를 해결하는 가설 중 하나다(실제 관측되는 힉스 입자의 질량은 양성자의 100배가 조금 넘는 정도지만 이론에 따르면 훨씬 커야 한다). 물리학자들이 초대칭성을 좋아하는 이유는, 현존하는 세 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풀 ... ...
이전3983994004014024034044054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