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70건 검색되었습니다.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가능성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고 평가한다.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
공학
전공 교수는 “청색광 QLED의 빛 효율은 이전 최고기록이 8~9%였는데 이번에 이론 효율에 도달한 것”이라며 “안정성도 안정한 시간을 제시하는 연구 자체가 없을 정도였는데 시간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의미가 ... ...
"지구 절반만 돕는 혁신으론 위기 벗어날 수 없어...'하나의 지구' 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발견은
공학
자의 손을 통해 또다른 해결책으로 발전되는 경우가 많다”며 “과학자와
공학
자가 함께 일하는 것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분야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은 직업이 변화하는 이 시대에 서로에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평생 교육에도 도움이 ... ...
[주말N수학]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
수학동아
l
2020.10.17
우수한 연구개발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다. 기초과학,
공학
등에 걸친 전 과학기술 분야에 주는 상이라 전체 281명의 수상자 가운데 수학자는 10명밖에 되지 않는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10월호,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 ... ...
[잠깐과학]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 노벨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0.10.17
우여곡절을 해결한 일등공신은 ‘랑나르 솔만’이다. 노벨의 실험실에서 일하던 화학
공학
자였던 그는 노벨의 신임을 얻어 개인 조수가 되었고, 노벨 사후에는 유언집행인이 되었다. 그는 유럽 각국에 흩어진 노벨의 재산을 모아 소송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종하는 동시에 노벨의 친척들을 설득해 ... ...
[인간·공감·AI]조난자 소리, 원하는 가수 목소리 콕 찍어 키워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6
하는 AI까지 청각 AI를 이용해 구현 중이다. 김홍국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부 교수팀은 청각 인공지능(AI)을 연구하고 있다. 영상에서 원하는 음만 골라 듣는 사운드 줌 기능부터 재난이나 사고 상황에서 상황을 인지하고 인명 구조를 하는 AI까지 청각 AI를 이용해 구현 중이다. ... ...
1회 충전 1000km 달리는 리튬공기전지 수명 10배 늘리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서동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은 리튬공기 전지 내부 유기물질을 세라믹 소재로 바꿔 전지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를 해결했다고 이달 15일 밝혔다. 리튬공기전지는 공기 중 산소를 전극재로 쓰는 전지다. ... ...
“뇌에서 느끼는 재미 통해 게임과 교육 양립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게임개발자로 일한 경력이 있다. 이 대표는 이달 12~15일 서울에서 열린 세계
공학
한림원평의회(CAETS)의 세션 발표자로 나섰다. ‘게임을 통한 기초학력 증진과 교육 불평등 해소’를 주제로 발표하기 전 서면을 통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대표가 설명하는 ‘게이미피케이션’은 아주 새로운 개념은 ... ...
이차범 텍사스A&M대 교수, 미국기계학회 최우수 논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차범 교수가 연구한 논문은 2018년 미국 기계
공학
학회 주관 생산 제조 분야 콘퍼런스에서 발표되기도 했다. 이차범 교수는 “이번 논문상을 수상해 매우 영광”이라며 “연구 분야는 현재 미국에서도 소수 연구원만이 수행중인데 앞으로 더 많은 ... ...
11월 독립법인 승격 재료연·핵융합에너지연 초대 원장에 이정환·유석재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있다. 유 원장은 1987년 서울대 원자핵
공학
과를 졸업하고 1989년 동 대학에서 원자핵
공학
석사를 취득한 후 1997년 독일 KIT대에서 플라즈마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부터 국가핵융합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선임단장, 플라즈마 기술연구센터장, 응용기술개발부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개발됐다. ●꿈의 물질 상온 초전도체 첫 성공 랜거 다이어스 미국 로체스터대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은 약 15도의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실험을 통해 발굴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4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초전도체는 물질의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완전 도체’의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