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05
전체 게놈 해독작업도 이뤄졌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암연구소의 마르코 마라
박사
연구팀은 4월 12일, 미 CDC 연구팀은 14일 사스바이러스의 전체 게놈 염기서열을 해독했다. 두 연구팀은 각각 서로 다른 곳에서 사스에 감염된 환자로부터 분리한 코로나바이러스를 분석했지만 두 바이러스의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05
이상이다.국내에서는 수년 전 미국 버클리 연구소에서 양성자 치료기를 연구해온 주동일
박사
가 한국과학기술원(KIST)과 협력해 설치를 시도했으나 결실을 보지 못했다. 2001년 국립암센터의 개원과 함께 정부에서도 양성자 치료가 암치료에 중요한 장비임을 인정하고 국가예산을 할당해 국립암센터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05
이때 허파 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두가 닫힌다. 스트라우스
박사
는 이런 현상이 인간의 딸꾹질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사실을 근거로 보면 딸꾹질의 기원이 아가미 호흡을 하는 폐어나 양서류에까지 올라가며 그때의 잔재가 없어지지 않고 ... ...
레고처럼 조립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학동아
l
200304
단독주택과 같은 작은 건물을 짓는 전문가에게 초고층빌딩을 짓는 의뢰가 들어올까? 아마도 단독주택 전문가가 초고층빌딩을 제대로 지을 수 있다고 생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같은 공기업에 취직하거나 대학에 교수로 임용됐다. 현재는
박사
과정 7명, 석사과정 9명으로 구성돼 있다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04
유전병을 비롯한 여러 인체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요법이 가능해진다.이외에도 골드
박사
가 개발한 셀렉스 기법을 이용해 다양한 기능의 리보자임이 개발되고 있다. 실험실에서 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할뿐 아니라 표적으로 삼는 특정 분자의 구조에 꼭 들어맞는 최적구조체의 RNA를 설계해 합성한 ... ...
물리학의 눈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04
장 교수는 시카고대 이론생물학 센터로 가지 않았다. 애초 반도체 분야로 텍사스대에
박사
후연구원을 신청했었는데, 시카고대와 텍사스대를 고민하다 좀더 물리학을 공부할 생각으로 1969년 9월 텍사스대로 향했다.텍사스대에서 그가 얻은 행운은 뒷날 노벨 화학상(1977년)을 수상한 벨기에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4
것은 아니다. 우장춘이 씨없는 수박을 개발한 과학자가 아니고 이태규가 최초의 이학
박사
가 아니며 이원철이 새로운 별을 발견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의 명성은 퇴색되지 않는다. 이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측면에서 뛰어난 과학적 성취를 이룬 한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자들이다.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04
12시간 주기로 밤낮을 구분하는데 이 효소가 고장난 쥐는 밤낮을 구별하지 못했다.신
박사
는 “이번에 기능을 밝혀낸 효소는 생체시계가 몇시인지 보여주는 시계바늘의 역할을 한다”며 “이 연구는 생명체 안에서 직접 생체시계의 작동 과정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 ...
카레라이스가 해장에 도움
과학동아
l
200304
생기면 이것이 간에 있는 혈관을 압박해 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킨다.요켈라이넨
박사
는 “쿠르쿠민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간 질환에 효과가 있는 다른 약물보다 더 안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험쥐에게 먹인 쿠르쿠민의 양은 카레 요리에 사용되는 양보다 훨씬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04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
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