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6,704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03
크기는 손바닥 정도다. 그리고 고도 1백20m 영상에서는 오른쪽 위
부분
과 왼쪽 아래
부분
의 지형을 비교해보면 둘 사이에 확연한 경계가 나타난다.한편 니어-슈메이커 탐사선에는 표면물질의 구성원소를 파악할 수 있는 X선 분광계가 실려있다. 탐사선이 에로스를 돌면서 얻은 자료를 분석해보면,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03
있는 안정적인 상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두번째 고리분자의 일
부분
에 전자를 빼면, 그
부분
이 (+) 전하를 띠게 된다. 그러면 원래부터 (+) 전하를 띠는 첫번째 고리분자와의 전기적인 반발력 때문에 고리가 회전한다. 이때 다시 전자를 주입시켜주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온다(그림4). 이처럼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03
거북들은 떠올라 다리를 만들라!”라고 하지 않았던가.또한 추모왕의 죽음을 전하는
부분
을 의역해보면 “하늘님이 누런 용을 보내자, 왕이 동쪽 언덕에서 용의 등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돼있다. 그리고 광개토왕의 죽음을 “하늘도 돌보지 않으셨다”고 표현했다. 이런 표현은 고구려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03
많은 돌연변이가 축적됐다고 추정된다.한편 남성 유전자는 돌연변이 빈도는 높지만 대
부분
염기 한두개가 바뀌는 점돌연변이가 많다. 반면 여성 유전자는 잘 바뀌지 않는 대신 한번 바뀌면 수십개가 없어지거나 삽입되는 형태의 돌연변이다.7 맞춤의약의 학문적 기초 제공단일염기다형성(SNP)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03
한 학생이 세계적인 석학의 강연 후에 질문을 했다. 당시 강연자는 미처 생각하지 못한
부분
이었는지 대답을 못해 어쩔줄을 몰라했다. 그 질문을 한 학생이 바로 이상엽교수다. 이렇듯 그는 늘 남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질문거리를 가지고 다녔다. 그리고 질문을 창의적으로 해결해왔다.오늘날 세계가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03
됐던 환자는 2-3명. 하지만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먹고 발병했는지 확인되지 않았고, 대
부분
의 의사들도 이 환자들이 vCJD과 무관할 것이라고 추정한다. 그래서 국립보건원은 지난 2월 1일 우리나라에서는 광우병에 걸린 소도 없고 vCJD에 걸린 환자도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그러나 우리나라도 세계의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
과학동아
l
200103
연단 좌우의 평행선들은 정확하게 한점으로 모이지 않는다. 아마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
이라서 눈어림으로 줄을 친 모양이다.단순명료한 구성 덕에 줄거리 쉽게 읽혀도나텔로와 친하게 지냈던 기베르티도 비슷한 작품을 만들었다. 이번에는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이 만나는 주제였다. 건축물의 ... ...
스티븐 호킹의 우주
과학동아
l
200103
책이다.좀더 많은 사람들이 우주의 모습을 그릴 수 있도록 수학과 물리학 지식이 필요한
부분
은 되도록 전문용어를 배제하고 쉬운 비유로 설명하는 한편, 우주관의 변화를 세계관과 연관시킴으로써 인문학적 재미를 준다. 특히 이 책은 수식 대신 한쪽에 1-2장 정도의 대형 컬러 사진, 특히 허블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03
생소한 계측장치의 개발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10년 후에도 현재의 실리콘 소자가 대
부분
의 전자제품에 사용되리라는 것을 의심하는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단순 소형화에 의존한 전자소자의 개발은 10년 뒤에는 그 한계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자가 개발되고, 이를 제어할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03
높이 떠오른 한밤중이 조금 지난 때다. 새벽 1시 21분 쌍둥이자리 델타별은 달의 어두운
부분
으로 잠입하기 시작해 그 모습이 사라진다. 새벽 2시 16분에는 반대편 방향인 달의 밝은 방향으로 나타난다. 달의 중앙 부근을 지나가므로 가려지는 시간은 꽤 길다.소형 쌍안경만 있으면 별이 달 옆에 붙어서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