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음
d라이브러리
"
다음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으로 느끼는 수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세팍타크로’라고 들어 봤니? 아저씨들이 좋아하는 족구와 비슷한데, 공을 땅에 떨어뜨리면 안 되고 손을 못 쓰기 때문에 발로 하는 배구라고 할 수 있어. 그리고 공이 독특해. 구멍이 숭숭 나 있거든. 세팍타크로 공은 플라스틱 여러 개를 엮어서 구 모양을 만드는데, 오각형의 구멍과 구멍 주위 ... ...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의 공인구의 이름은 자불라니였어요. 처음에는 역대 축구공 중에 가장 구 모양에 가깝다는 칭찬이 자자했어요. 하지만 선수들에게는 ‘자불라니(잡으려니) 잘 안 잡히네’라는 말이 나올 만큼 불만이 많았던 공이었죠. 오늘 선생님과 함께 입체도형을 공부하면서 더 좋은 축구 ... ...
판타스틱 경험디자인 월드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아이폰’의 애플, ‘미니쿠퍼’의 BMW, ‘나이키에어’의 나이키…. 디자인으로 엄청난 성공을 일군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그런데 이 기업들의 성공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이유가 왜 하필이면 디자인일까. 애플컴퓨터에서 산업디자인 관리자였던 로버트 브루너와 기업문화 컨설턴트인 스튜어트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다윈 진화론의 아이콘인 ‘다윈의 핀치’ 14종. 이들은 부리의 크기와 모양이 제각각인데 저마다의 환경에 적응한 자연선택의 결과로 해석된다. 최근 핀치 부리의 다양성이 아핀변환이라는 간단한 수식을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 이를 뒷받침하는 유전자 연구결과도 있다.아주 밀접한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지천에 널린 물을 보고 신기해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사실은 과학자들이 그렇다. 물은 대단히 특이한 성질들로 가득한 신비로운 물질이다. 20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생화학자인 미국 하버드대의 로렌스 헨더슨 교수는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물의 기이한 특징 때문”이라고 말했다. 물과 ... ...
내 물리 실력 한눈에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과연 내 물리 실력은 얼마나 될까. 우리 반에서나 학교에서는 알겠는데 전국에서 내 실력은 얼마나 될까. 권위 있는 곳에서 내 물리 실력을 인정받는다면 진학이나 취업에 보탬이 되지 않을까.이런 궁금증을 풀어줄 ‘물리인증제’가 9부터 시행된다. 한국물리학회는 초·중·고교생과 대학생을 대 ... ...
집적시스템 설계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최근 각광받는 태블릿 PC,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집적회로의 설계가 필수적이다. 세계 무대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에 대해 알아보자.1. 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이란 무엇인가요?집적시스템 설계공학은 여러 반도체 소자를 칩에 모아 하나의 시스템 ... ...
전송 오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디지털 통신에서는 모든 신호를 이진수로 바꾼 다음 그 부호를 통신선이나 전파에 실어 전송한다. 무선 통신 환경은 유선 통신에 비해 매우 불안하므로 전송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번호에서는 그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다. Q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좁은 방안에 앉아 수학을 사용하는 넓은 세상을 공부하는 비법은? 책? 딩동댕! 맞았어. 바로 책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는 거야. 예를 들어 과학 시간에 우리 몸 속의 호흡을 담당하는 폐에 대해 배웠다고 하자. 그런데 궁금증이 생겨 폐에 관련된 책을 읽었더니 이런 내용이 나오는 거야.“짧은 ... ...
수학으로 우주를 계산할 수 없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숫자를 수학적 체계 밖으로 내보내 시적인 기호로 만드는 것이 목표였던 이상. 이런 설명을 들을수록 소희의 궁금증과 호기심은 자꾸만 커져간다. 입체적으로 보면 그렇다는 거죠? 이상의 시에는 수로 표현할 수 없는 고차원적인 수학이 숨어 있는 셈이네요. ‘선에관한각서 1’도 설명해 주세요.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