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여러 모험을 거치며 신비한 동물도 잔뜩 보고, 탈출했던 마법 동물도 모두 다시 찾았어. 시작은 엉뚱한 사건 때문이었지만, 그 덕분에 머글 세계에도 신비로운 동물들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돼서 기뻐. 아쉽지만 이젠 마법 세계로 돌아갈 시간이야. 언젠가 꼭 신종 탐험지에서 다시 만나길 바랄게. ... ...
- [과학뉴스] 시민과학자의 놀라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14년, 원시태양계를 시민과 함께 찾는 ‘원반 탐정’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시민들은 NASA가 찍은 영상을 보고 원시태양계를 찾아낸답니다. 지금까지 약 3만 명의 시민이 참여해 200만 개 정도의 천체를 분류했어요.최근 미국 오클라호마주립대 연구팀은 시민이 분류한 ... ...
- [특별 인터뷰] 아마엘 볼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장이권 이화여대 교수님과 연이 닿아, 서울대와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어요.특히 그는 멸종위기종 1급인 수원청개구리 연구로 유명해요. 2014년에는 자신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원청개구리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위기’ 등급으로 직접 신청해 등록하기도 했어요.“매해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그래서 비교적 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홍채가 생체 인식에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패턴을 숫자로 바꾼다!홍채 인식 기술의 기본적인 원리는 홍채의 모양을 컴퓨터 언어로 바꿔 주는 거예요. 일단 카메라가 눈에서 홍채의 위치를 파악해요. 이후 조임근의 모양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안경원숭이들만의 독특한 생리와 해부학적인 특징, 수유 행동에 대해 알고 싶어 연구를 시작했어요. 열심히 연구를 하던 중에 우리가 원숭이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해 냈다고 해요.아직 박사님들이 우리 안경원숭이에 대해 연구할 거리가 많다고 해서 도와 주러 가야 해요! ... ...
- [숲이야기] 알록달록, 겨울을 기다리는 단풍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초록색을 빛내던 잎이 붉은색, 노란색, 황갈색 등 다양한 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들기 시작하지요. 단풍이라고 하면 흔히 단풍 나무과의 식물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진달래과, 옻나무과, 포도과 등에 속하는 다른 식물 중에서도 아름다운 단풍을 자랑하는 종들이 있답니다.잎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있었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체인식 기술에 인공 지능 기술인 ‘딥러닝’을 적용하기 시작했어요.딥러닝은 인간의 뇌의 신경망을 본떠 만든 알고리즘이에요. 기존의 컴퓨터는 문제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답만 계산해서 알려 주는 방식이었어요. 그래서 잘못된 정보를 입력하면 틀린 답이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방법을 배우고, ‘NO! 일회용품, YES! 재활용품’ 퍼포먼스도 했습니다. 본격적인 총회가 시작됐고, 저는 분리수거 위원회에서 헝가리 국가를 배정받았습니다.자료 조사 중 헝가리에 재활용 가게가 많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특히,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 에체리 벼룩시장(Ecseri Flea Market)이 동유럽 ...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이런 시간을 뇌 연구에 쓸 수 있다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뇌 지도를 그리는 아이와이어를 시작했답니다.아이와이어는 온라인 사이트(eyewire.org)를 통해 전세계의 누구나 참가할 수 있어요. 참가자들은 마치 퍼즐 게임을 즐기듯 뇌 신경세포 지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답니다. 145개국에서 참가한 20만 명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편리함 때문에 스마트폰과 금융 결제, 출입문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가장 먼저 사용되기 시작했답니다. 특이점을 찾는다!지문에는 여러 개의 선이 일정한 모양을 이루고 있어요. 이 선은 손바닥에 존재하는 땀구멍이 솟아오른 것으로, 솟아 오른 선을 ‘융선’, 두 융선 사이 패인 곳을 ‘골’이라고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