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본다… 그러나 수정란이 형성된 직후부터 생명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과 생명복제기술이
일부
국가와 산업계의 의도에 따라 일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윤리적·기술적인 불확실성과 위험이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런 결론을 내렸다.”한국에서 실험중?시민들의 합의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설계와 제작에 함께 참여하면서 상당한 노하우를 습득했다. 또 안테나, 충전지 장치 등
일부
부품이지만 우리 제품들도 들어갔다. 그동안 들인 공을 접어두더라도, 투자한 1천7백80억원을 생각해 하루 빨리 통합방송법이 해결되기를 관계자들은 바라고 있다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가졌다. 손의 크기, 엄지와 네 손가락을 움켜쥔 주먹의 둘레, 팔의 길이와 같은 신체의
일부
를 사용해 사물의 크기를 측정하고 각종 도구와 생활용품을 제작했다.예를 들어 고대의 치수 단위로 스타디온(stadion)이라는 척도가 있다. 경기장을 의미하는 스타디움(stadium)에서 유래된 말인데, 성인의 보통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일대 요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더욱이 해양판 위에는 다량의 물을 포함한 퇴적물의
일부
가 존재한다. 수분이 많아진 탓에 해양판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잘 녹아 막대한 양의 마그마(용암이 분출되기 이전의 상태)가 만들어진다. 마그마의 세력이 충분히 커지면 땅 속에서 더욱 강렬한 움직임을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사실과, 이를 통해 클로닝(cloning)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클로닝이란 조직의
일부
를 이용해 생명체 전체를 창조한다는 것. 이때부터 클로닝이란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다.제한효소와 DNA 재조합기술의 발견은 DNA 속에 염기들이 어떻게 배열돼 있으며, 특정한 유전자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달에 가려지는 일식을 볼 수 있다.아래의 그림에서처럼 달의 실제 크기는 작아 지구의
일부
지역에만 달의 그림자가 비쳐지는 일식을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지구의 자전으로 달의 그림자는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 움직이므로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은 채 몇 분이 안 된다.달이 태양을 완전히 ...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화성대기를 통과하면서 만든 물질이 화성흙을 산화시켰기 때문이라고 밝혀졌다. 한편
일부
에서는 지구에서조차 생명체를 발견할 수 없는 고물장치를 화성에 보내놓고 생명체를 발견하려고 한 것은 애초부터 억지였다고 말했다.엄청난 비용을 들여 화성에 보낸 바이킹은 결국 많은 사람들을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세포를 다시 포배기 수정란에 되돌려 집어넣는 일이다. 그렇다면 수정란 전체 세포에서
일부
의 세포만 유전자가 변형된 셈이다. 그 결과 수정란이 분화돼 하나의 개체가 형성되면 ‘부분적으로’ 유전형질이 변형된 동물 ‘키메라’(chimera)가 탄생한다.이 키메라를 어디에 쓸 수 있을까. 과학자들이 ... ...
사람 귀를 등에 단 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쥐가 소개됐다. 등에 사람의 귀와 코를 단 쥐였다. 선천적인 원인나 사고로 인해 신체의
일부
가 결여된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대체 장기의 일종이다. 한국화학연구소의 화학소재연구부의 작품이다.하지만 이 쥐를 형질전환동물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유전자를 변형시킨 것이 아니라 단순히 쥐의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름 붙이기 전 프랑스의 천문학자 오귀스탱 로이어가 먼저 안드로메다자리
일부
와 도마뱀자리 지역을 합쳐 루이 16세를 기리는 별자리로 그렸다. 또 약 1세기 뒤 독일의 천문학자 보데는 ‘프레데릭 대왕의 영광’이라고 별자리 이름을 붙였으나 얼마 사용되지 못하고 사라졌다.이 별자리에서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