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염의 가수분해와 완충용액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유지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아세트산은 일부만 이온화되고 아세트산나트륨은 거의
100
% 이온화돼 이온화 평형을 이룬다. ·산이 첨가되면 : H+의 양이 증가하고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곧바로 ①반응의 역반응이 일어난다. 그러면 증가한 H+의 양이 감소되므로 pH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염기가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들이 모여 모든 유기체의 기본 단위인 ‘세포’가 형성된다. 우리의 몸은 약 60~
100
조개의 세포로 구성돼 있으며 각각의 세포들은 끊임없는 화학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살아 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구분짓는 결정적인 차이는 화학작용이 얼마나 활발하게 일어나느냐에 달려 있다.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한계가 있다. 사람의 반응시간과 마찰력을 고려할 때 시속
100
km로 달릴 경우 최소
100
m의 안전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안전장치는 안전거리를 지키는 일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보행자 보호하는 차량 안전기술{BIMG_5}최근에는 차량에 전자파적합성(EMC) 시험도 도입했다. 점차 ... ...
초고도근시의 희망 렌즈삽입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안구 속에 집어넣는 방법뿐이라는데….시력교정수술을 하기 위해 안과를 찾는 사람이
100
명이라면 라식이나 라섹 수술이 가능한 사람은 70명 정도다. 나머지는 눈이 너무 나쁘거나 각막이 얇아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다. 이들에겐 라식이나 라섹도 그림의 떡인 셈이다.최근 초고도 근시를 교정하기 ... ...
찰나에 깜박이는 초강력 레이저로 세계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있다. 2006년 3월 25테라 와트급 레이저로 양성자 빔을 발생시킨 데 이어 같은 해 7월
100
테라와트급 레이저로 X선 레이저를 발진시키는 데 성공 했다. 이 교수는 “양성자 빔은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고, X선 레이저는 기존 X선과 달리 단일 파장으로 구 성돼 훨씬 더 선명한 X선 씁상을 얻을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성능을 인정받고 있는 최첨단 전자현미경이다. 일반 전자현미경에서 사용되는 전자빔이
100
kV로 0.2~0.3nm 크기의 입자를 볼 수 있는데 비해 HVEM의 전자빔 성능이 이보다 13배나 강한 1300kV여서 0.12nm의 해상도로 원자까지 볼 수 있다. 우주망원경에 비유하면 달 표면에 있는 모래알을 보는 셈이다. 가속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맑은 열대의 바다에서는 유광층이 200m에 이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유광층은 수심
100
m까지다. 광합성을 하는 해양 식물은 모두 이 얇고 따뜻한 표층에서 산다. 유광층 아래는 암측 천지다. 유광층 아래의 이 어두운 물을 무광층이라 한다. 소리는 탄성 매질 속을 진행하는 빠른 압력 변화에 의해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한 축인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인 양자 결맞음이 그 단서다.인류는 지난
100
년 동안 화석연료를 남용한 결과 연료 고갈에 따른 에너지 위기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위기를 초래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른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가 태양광이다.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 ...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선보인 ‘영웅서기3-대지의 성흔’(이하 영웅서기3)은 출시 3개월 만에 다운로드 수
100
만 건을 넘었으며, 현재는 150만 건에 이른다. 2005년 말 처음 출시된 ‘영웅서기-솔티아의 바람’은 80만 명이 넘는 사람이 즐겼다. 당시 출시된 모바일게임 중 50만 명 이상이 내려 받는 게임은 거의 없었다. 2006년 ... ...
[생태학]냄새 기억해 귀가하는 사막 개미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찾는다. 하지만 사막에 사는 개미는 그러기가 어렵다. 사막은 기온이 높고 먹이가 귀해
100
m 이상을 돌아다니는 일이 잦아서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 사막 개미는 시각 정보를 이용해 길을 찾는다고 알려져 있었다.연구에 참여한 마커스 네이든 박사는 “사막 개미가 서식처의 시각 정보와 함께 냄새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