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6,87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 이해 지름길, 침팬지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08
있다. 게놈연구자들은 의미없이 반복돼 있는 정크 DNA가 바로 이런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인간의 정크 DNA는 개인마다 심각히 다르기 때문에 이를 연구하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이에 비해 침팬지는 게놈의 변이현상이 매우 드물게 나타나고 있어 정크 DNA의 염기서열을 알아낼 수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08
전제는 유전자의 수는 염색체의 길이에 비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게놈지도 초안에
보고
된 결과를 보더라도 유전자는 염색체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지 않으며, 또한 염색체마다 유전자 빈도가 다르다. 따라서 비교 대상으로 선정한 염색체의 조건에 따라 유전자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것으로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08
시기에 4명의 폴란드 천문학자들이 행성으로 보이는 천체 40여개를 무더기로 발견했다고
보고
했다. 또 지난 6월에는 15개의 새로운 행성이 발견됐다. 이렇게 잇따른 발견을 종합해보면,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의 수가 1백여개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관측기술이 발전하면 훨씬 더 많은 행성들이 계속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07
높은 에너지를 가진다. 이것은 단지 한개의 원자 모습이다.그렇다면 우리가 지금 실제로
보고
있는 물질이 되려면 몇 개의 원자가 모여야 할까. 탄소 12g이면 이 안에 들어있는 원자의 수는 6×${10}^{23}$개(아보가드로수)나 된다. 이게 얼마나 되는 숫자인지 감이 오질 않겠지만 정말 많은 것은 분명하다.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07
악당을 처단하기보다는 신나게 하늘을 날아다니고 싶다. 그 힘을 이용해 돈벌이도 좀 해
보고
싶다. 평소에 나를 괴롭히던 놈들에게 복수를 하고 싶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여자 앞에서 우쭐거리고 싶다. 스파이더맨의 피터 파커는 평범한 사람이 초인적인 힘을 얻었을 때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 ...
하드디스크는 오늘 무엇을 기억하는가
과학동아
l
200207
틀을 벗어나 하드디스크의 본능에 따라 기억을 감행한다. 백그라운드에서 시청자가
보고
있는 영상을 기억하고 있다가 주요 장면을 되돌려 보여주는 기억력이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신해 사용자의 취향과 선택에 의해 볼만하다 생각되는 프로 전부를 대신 기억해 주는 눈썰미 등 이제 한낱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07
경향을 분석해서 ‘나노기술 기회
보고
서’(Nanotechnology Opportunity Report)를 발간했다. 이
보고
서에 따르면 나노기술은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학문적 차원으로만 연구되는 것이 아니다. 현재 나노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이 전세계으로 5백여개에 달한다. 이 점은 지금까지 진행돼 왔던 어떤 다른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07
보면서 손가락의 간단한 움직임만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중이다. 즉 눈으로
보고
손으로 느낄 수 있는 SPM의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이다. 한 예로 미국 노스캘로라이나대 컴퓨터공학과는 SPM 조작환경을 개발해 서드테크라는 벤처기업을 2000년에 설립했다. 올 봄에 이 회사는 매출액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07
과학자들은 아미노산 서열 비교를 통해 기능을 밝힐 수 없는 단백질이 상당수일 것으로
보고
있다.단백질 기능을 밝히는 첨단 학문인 구조생물학은 이런 문제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을 제시해준다. 예를 들어 미오글로빈(myoglobin)과 헤모글로빈(hemoglobin) 이란 단백질을 생각해보자. 생체에서 각각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07
이후부턴 다시 지평선 아래로 천천히 사라져간다.날이 갠 저녁 무렵이라면 금성을 찾아
보고
그 위치를 매일 같은 시간에 기록해보자. 금성의 위치가 지평선에서 조금씩 떠올랐다가 다시 가라앉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6월 22일 이후 금성은 점차 고도가 낮아진다. 10월초까지 꾸준히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