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4,85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03
볼 수 있을 정도의 기억용량이다. 광연결소자는 주로 광통신용 광섬유(빛의 유도부분인
중심
의 직경이 0.01㎜)와 박막광도파로(폭 0.005㎜, 높이0.002㎜) 간의 효율적 광결합을 위한 연결방법과 광검출기 각종광소자간의 연결방법 등이 개발 중에 있다. 광논리 및 연산소자는 비선형 광학효과에 의한 ... ...
중성미자의 비밀은?
과학동아
l
199103
건설중에 있다.이 계획을 총괄하고 있는 조지 아이작 교수는 이렇게 결론짓고 있다. "태양
중심
부에 WIMP가 존재한다는 모델은 이론적으로 가상했던 태양모델보다 훨씬 비합리적이다. 달리 말하면 우리가 가상했던 태양의 구조는 그다지 틀린 것이 아니다. 중성미자의 수수께끼는 그 자체의 성질에서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03
있다.일반적으로 생후 1년이내에 첫 감기를 앓기 시작해서 1~3세 사이에는 코감기를
중심
으로 감기를 자주 앓게 된다. 아울러 이 시기에는 주변의 많은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능력이 생긴다. 그러다가 다시 학교에 들어갈 나이가 되면 새로운 환경, 새로운 바이러스에 접하게 돼 감기를 앓는 횟수가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03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거미동호회를 발족시킬 예정이다. 활동내용은 사진 촬영이
중심
이며 이를 위해 거미생태에 관한 교육도 곁들일 예정이다.생태사진가가 집단(?)으로 탄생할 가능성이 엿보이는 곳도 있다. 웅진출판사에서는 5개년 계획(89년 5월 시작)으로 80권 분량의 '한국의 생태'를 펴낼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03
들어가 대뇌의 좌반구에 수렴한다. 두 눈을 공간의 한 점에 고정하고 있을 때, 그 점을
중심
으로 우측 시야에서 일어나는 일은 두 눈을 거쳐 좌측 시각 신경계를 거쳐 대뇌 좌측의 시각 피질에 수렴된다. 또한 좌측 대뇌는 우측 신체의 근육, 즉 오른팔 오른다리를 움직인다. 좌우 반구는 축색 다발에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03
1975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최초의 연구용 전기자동차를 제작한 이래 자동차 메이커를
중심
으로 개발이 진행중에 있는데 보완해야 할 문제점을 아직 많이 안고 있다.원리는 전기자동차에서 따와말하자면 태양전지자동차는 제3세대 무공해자동차인 셈이다. 그 기술적인 원리는 전기자동차에서 ... ...
PART Ⅴ 잠자는 뇌를 흔들어 깨워라
과학동아
l
199103
있다. 따라서 학교는 이러한 능력의 소유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게 되고, 이는 좌뇌
중심
의 교육을 강조하고 우뇌를 무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을 받은 후 사회생활을 하면서 우뇌를 사용할 기회를 갖지 못해 자연히 우뇌는 잠자는 뇌가 되고 만다. 삶의 과정을 통해서 우뇌의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03
별도로 거대한 규소결정체를 이용해 중성미자를 찾고자 하는 시도도 미국과 소련을
중심
으로 이뤄지고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는 많은 인력과 돈이 필요하다. 하나의 실험을 하는데도 수십명의 박사급 인력이 수년동안 동원되며 비용도 2백억원이 넘는다.왜 이렇게 많은 사람과 돈과 시간을 들여 ... ...
배타의 원리
과학동아
l
199103
입자를 생산하지만 과학자들이 기대하는 양에 훨씬 못 미친다. 어떤 이들은 태양
중심
부의 극한 조건에서는 배타의 원리가 잘 적용되지 못함으로써 중성미자의 부족현상이 나타나는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One of the glories of scientific endeavor is that any scientific belief, however fir ...
자동차를 순식간에 쇳덩어리로 녹여버리는 1백만W 전구는 어디에 쓰일까?
과학동아
l
199102
냉각시키고, 관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관이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아르곤은 관
중심
부를 빠른 속도로 돌면서 흩어지지 않는 빛을 방사(放射)한다. 이론적으로는 이 방식을 통해 수백만W의 전구도 제조할 수 있다.이 전구는 반도체제조 뿐만아니라 터빈날개나 자동차부품 제조시에, 또는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