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12
처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넓어진 유전공학응용분야 1987년은 유전공학을 이용한
최초
의 대형 의약품이 등장하는 해로 기대를 모았던 생물공학계의 꿈은 당분간 연기되었으나 지난 해 유전공학은 의료분야에서 식물계에 이르기까지 응용의 나래를 더욱 넓혀나가 일찌기 없었던 풍요한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12
뜻은 모두 진화된 생물의 조상이라는 말과 같으며 이미 40억년 전에 이 지구상에
최초
로 나타난 생물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병주고 악주는 미생물 요즈음 같이 과학이 잘 발달하지 않고 잘 알려지지 않던 시절만 하더라도 미생물은 그야말로 공포의 대상이었을 뿐이었다. 많은 음식물을 썩게 ... ...
방향장치의 혁명 4륜조향 승용차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711
장비한 자동차가 일본과 미국에서 속속 출현하고 있는 것. 일본의 '혼다'는 지난 4월 세계
최초
의 4WS 승용차인 2천cc급 '프리류드'를 발매했다. 혼다기술연구소가 기술개발에 착수한 1970년이래 17년만의 개가였다. 이어 5월에는 이에 뒤질세라 '마쓰다'가 '카페라'를 시장에 내놓아 본격적인 경쟁에 ... ...
기초과학 위에 뿌리내린 첨단과학
과학동아
l
198711
파리의 '에콜 노르말'(사범학교)에서 물리·화학을 공부하고, 모교의 조교로 일하였다.
최초
의 연구는 타르타르산(酒石酸)에 관한 것이다.'디종' 중학교의 물리교사를 거쳐 1849년 '스트라스부르'대학 화학교수가 되었으며 화학조성 결정구조 광학활성의 관계를 연구하여 입체화학의 기초를 ... ...
1백억 광년 떨어진 곳에
과학동아
l
198711
모른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것은 천문학자들로 하여금 은하들이
최초
에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그들의 견해들을 가다듬게 만들것이다.Finding something new in the sky is always exciting, but finding something new at an enormous distance-as as ...
애플사 설립, 20대에 억만장자 스티븐 좁스와 스티픈 워즈니액(Steven Jobs & Stephen Wozniak)
과학동아
l
198711
워즈니액은 마침내 휴대용 타이프라이터 보다는 작으나 큰 컴퓨터의 성능과 맞먹는
최초
의 퍼스털 컴퓨터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애플 Ⅰ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컴퓨터는 스탠퍼드대학구내에서 열린 컴퓨터 애호가의 모임인 '홈 부류 컴퓨터 클럽' 전시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애픔 Ⅰ은 커다란 ... ...
효소와 같은 화합물의 합성
과학동아
l
198711
노벨화학상의 수상공적은 효소와 같은 성질을 갖고있는 새로운 화합물을
최초
로 합성하고 이 이론을 정립시켰다는데 있다. 이들 새로운 화합물은 분자구조식의 모양이 왕관(크라운)처럼 생겼다고 하여 크라운화합물이라고 부른다.페더슨은 1967년 처음으로 효소와 같은 촉매작용을 하는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11
반트 호프를
최초
의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한편 아레니우스 자신도
최초
의 노벨화학상을 받지 않으려 하였는데, 그것은 물리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고 싶어했기 때문이었다. 여기에는 물리화학 분야를 기존의 유기화학 등과는 다른 새로운 학문 분야로 정립시키려는 그의 전략이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11
바꾸기 위해서는 다른 어떤 물질이 필요한가를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그의
최초
의 실험은 실패로 끝났다. 따라서 이번에는 다른 물질 즉 아닐린을 사용하기로 했다.퍼킨은 소량의 아닐린을 실험관에 넣고 신중하게 선택한 또 다른 물질을 반응시켜 보았다. 이때 시험관 바닥에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11
식물의 개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온도의 변화가 개화를 조절하는 환경 요인임을
최초
로 밝힌 '가스너'(Gassner)는 밀과 귀리의 겨울형과 봄형의 품종을 1월과 7월사이에 파종한 후 발아시의 온도를 1~2˚C, 5~6˚C, 12˚C와 24˚C로 각각 유지시켰다. 그 결과 봄형은 발아시 온도와 관계없이 모두 여름에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