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하지만 매일 점심식사 후면 산책을 하는 등
건
강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스스로
건
강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연구활동도 오래 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다. 에너지연에서 연구하는 동안 ‘바이오 디젤 상용화 성공’을 남은 최대의 숙제로 보고 있다. 식물의 구조는 치밀하게 굳어진 섬유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그가 이 자리에 오기까지 많은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그는 “그래도 가장 큰 원동력이 된
건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힘’ 덕분”이라고 밝혔다. 금융 보안을 설계할 때를 예로 들었다. 그는 “다른 은행에서 ‘오른쪽에 손잡이가 달리고 당기면 열리는 문’을 설계했다면 조금만 생각을 달리해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도입부가 “따다다 단-”이니 이를 모스 부호로 해석하면 “•••- ”이고, 이
건
모스 부호에서 V를 뜻해. V는 Victory, 즉 승리를 의미하지. 그러니까 영국의 BBC는 제2차 세계대전의 승리를 기원하며 운명교향곡의 도입부를 상징적으로 사용한 거야.어때? 내 음악 속에 암호가 담겨 있으니, 나도 수학을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것처럼 움직인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사실 그림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건
그 역사가 깊다. 기원전 1만 8500년에서 1만 4000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알타미라 동굴벽화에는 다리가 8개인 멧돼지가 있다. 구석기인들이 달리고 있는 멧돼지를 표현하기 위해 이 방법을 쓴 것으로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수 없다면 희망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위험에 빠지지 않으려면 두 조
건
을 만족하는 직업을 택하는 게 가장 좋다는 게 노 교수의 조언이다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구사할 수 있다.현재 지구에 살고 있는 수많은 척추동물이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었던
건
다양하게 진화한 입 덕분이다. 단순한 구멍에서 시작한 입은 이제 사람이 문명을 유지하는 데도 빼놓을 수 없는 기관이 됐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라는 구절만큼 입에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해준 입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입은 그만큼 다재다능하다. 많은 동물은 입으로 물
건
이나 새끼를 나른다. 새는 투박한 부리를 가지고도 풀이나 진흙을 날라 둥지를 짓거나 벌레를 물어와 새끼를 먹인다. 의외로 정교하기도 하다. 늑대는 뼈도 부숴 먹을 정도로 턱힘이 세지만, 새끼를 나를 때는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믿기 힘든 설명이 논문에 들어있다.방콕 시리라즈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던 의료진은 18
건
의 “폭풍 같은” 성기접합수술을 치르며 중요한 사실을 발견했다. 수술 중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환자가 회복 후에 발기 불능 같은 여러 후유증을 앓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진은 그림과 사진을 예로 ... ...
나이들면 심장박동 느려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전기신호를 내는 동방결절을 쥐의 심장에서 분리했다. 심장이 규칙적으로 뛸 수 있는
건
동방결절에서 나오는 전기신호 때문이다.연구팀은 늙은 쥐의 심장에서 분리한 동방결절이 젊은 쥐에서 분리한 것보다 신호를 느리게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 다음 연구팀은 세포가 늙을 때 세포막에 ... ...
[INTERVIEW] “1000호 소장 독자가 되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6일 저녁 창원시 진해구 소재 자택을 찾았다.주 씨가 과학동아를 단순히 취미삼아 모은
건
아니다. 생물학을 전공한 그에게 과학동아는 대학교 공부의 보조 교재였다. 그는 “원서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참고서로서도 활용이 가능했다”고 회상했다.“학부에서 과학잡지 동아리를 만들어서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