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반
d라이브러리
"
높은사람
"(으)로 총 4,79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린네는 지의류를 「식생의 초라한 쓰레기」라고 불렀지만 지의류의 선구적 역할을 알아차렸다.한줌 푸른 지의류(lichens)가 나의 집 근처 바위 뒤에서 자라고 있다. 나는 이곳을 지날 때마다 일종의 두렵고 놀라운 마음으로 그것을 바라본다. 왜냐하면 이 작은 식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온 것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과학엘리트 코스인 과학고 과기원 입학시험을 무사히 통과하려면…과학고 - 주관식 비율 50%로 높아질듯금년도 과학고 1차시험은 11월 8일에 전국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원서접수는 10월 말까지(10월 21일~31일).전국의 과학고에 입학하려면 까다로운 지원조건들을 충족시켜야 한 ... ...
3. 알파파와 바이오피드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불안하고 긴장될 때 혹은 생리적 이상을 느낄 때 손쉽게 알파 피드백을 응용할 수 있다.바이오 피드백(biofeedback)이란 평상시 수의적(隨意的, 제마음대로 함) 조절이 불가능한 생리적 반응이나, 수의적 조절이 가능했던 생리적 반응이라 할지라도 외상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불가능한 상태에 있을 때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시베리아는 1891~1905년에 걸쳐 7천5백㎞의 시베리아 철도가 건설, 철로변을 따라 천연자원을 이용한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개척됐다. 특히 1974~1984년에 걸쳐 제2의 시베리아 철도인 바이칼~아무르 간선철도(4천2백75㎞)가 완공되면서 시베리아의 극동지역은 세계의 관심대상이 되고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도시 상공에는 먼지층이 돔 모양의 두꺼운 층을 형성하고 있어 별관측을 방해한다. 광공해 차단필터를 사용하고, 비온 다음날 아파트 옥상에서 자정이 넘은 시간에 관측을 한다면…화려한 네온사인, 도로를 따라 빛줄기 선을 긋고 있는 가로등, 그 선을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는 자동차의 불빛, 마치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해열진통제인 아스피린은 버드나무 껍질에서 분리한 약이다. 이밖에도 수없이 많은 천연물추출 약물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인류의 선조들은 자연속에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식물을 채취하거나 물고기와 동물을 사냥했다. 그러다가 차츰 식용가능한 식물을 재배하고 야생동물을 길들여 가축으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어느새 다가와버린 컴퓨터시대에 뒤져 있는 당신을 발견하고 깜짝 놀라신 적은 없습니까?' PC문명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컴퓨터 문맹」이란 소리를 들을까봐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무작정 모른다고 할 수도 없고 어디가서 뭘 배워야 할 지도 막막하다. 「과학동아」는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명상 선 요가 최면 등을 수행하면 알파파가 증가하고 근육이 이완된다.뇌파가 뇌세포들의 활동을 측정하는 도구로 알려진 이래 우리 몸의 편안한 상태와 긴장상태 혹은 보통상태에서 뇌세포들의 활동이 어떻게 다를 것인가 하는 의문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다.인간은 태초부터 불안을 느끼면서 긴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박테리아에서 핵막유사구조 발견「원핵세포의 진화과정」추측지금까지 발견된 박테리아 3천여종은 모두 세포에 핵이 없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를테면 예외없이 원핵세포로 구성돼 있었다. 그런데 최근 세포의 핵과 비슷한 핵체(nuclear body)를 지닌 박테리아가 발견됐다. Gemmata obscuriglobus라는 박테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스티븐 호킹의 업적 중 대표적인 것으로 두가지를 꼽을 수 있다. 하나는 "검은 구멍은 그다지 검지 않다"라는 그의 말에 잘 나타나 있듯이, 빛도 탈출하지 못하는 지옥처럼 알려져 있는 검은 구멍(black hole)이 결코 천체물리학 세계의 '괴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상상을 초월하는 높은 온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