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d라이브러리
"
보통
"(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세계의 저항문화 안티사이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사려고 검색하다가 관련된 안티사이트에 왔을 때 제품에 대한 불만이 적혀 있을 겁니다.
보통
사람들은 이런 불만을 보면 사려고 했던 물품에 대한 반감만 생겨 물품을 사지 않게 됩니다. 제품에 나쁜 점도 있지만 좋은 점도 있다는 것을 고려해 가치중립적으로 노력해야 경제에도 보탬이 될 ... ...
한번 슈퍼컴 영원한 슈퍼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1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그러나 슈퍼컴퓨터가 1초에 처리할 수 있는 계산 횟수가
보통
1백만번을 넘기 때문에 FLOPS보다는 MFLOPS(106 FLOPS), GFLOPS(109 FLOPS), TGFLOPS(1012 FLOPS) 단위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PC와 마찬가지로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로는 MB(106 byte), GB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단백질이 접히는 과정을 해명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단백질 사슬 하나는
보통
아미노산 1천개를 가지고 있어 아미노산 사이의 연결부위는 10개의 배열을 가질 수 있으므로,1개 단백질이 취할 수 있는 접힌 헌태의 수는 엄청나다.3백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비교적 짧은 단백질이라고 ... ...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만족시키는 것이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4백10nm 정도의 청자색레이저다. 이를 이용하면
보통
화질의 영화 4편, 고화질텔레비전용 영화2편을 DVD에 저장할 수 있다. 적색레이저를 이용할 때와 비교해 엄청난 양이다. 이외에도 청자색레이저는 고해상도 레이저 프린터와 복사기 등의 광원으로도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컴퓨터로 예측하는데 불과 몇십분이 안 걸리는 정도다. 이와 함께 예측능력도 개선됐다.
보통
예측기간이 길수록 예측정확도가 떨어진다. 현재 대기 중층의 기류에 대한 72시간 후의 예측정확도는 15년전 36시간 후의 예측정확도에 근접할 만큼 향상됐다.지구대기는 가상공간 속에서 양파껍질처럼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하고,배설물도 깊이 묻어버려 냄새가 퍼지지 않도록 해야한다.거대한 몸집의 곰은
보통
의 위협으로는 물러가지 않는다. 곰이 사람과 맞닥뜨렸을 때 어느 정도 탐색을 하다가 뒤로 몇 발자국 물러서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곰이 물러가는구나 하고 마음을 놓으면 절대 안된다. 이것이 곧 공격자세이기 ... ...
대덕 슈퍼컴퓨팅사업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것이 아니다. 처리할 정보량이 유동적일 수 있기 때문에 여유공간을 남겨두는 것이 좋다.
보통
적정 활용률은 70%라고 한다. 그런데 이 포화상태로 운영되는 2호기를 사용하는데만도 사용하는 시간보다 15배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다.재밌게도 2호기보다 성능이 월등한 CRAY T3E는 오히려 ... ...
3. 고에너지가속기가 해결하는 20세기 숙제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것들은 다시 반물질을 이룰 것이다. 하지만 우주에 반물질들이
보통
의 물질에 비해 훨씬 적다는 사실은 우리 주위를 봐도 명확할 뿐 아니라 은하보다 큰 스케일에서 살펴봐도 역시 그렇다. 이를 우주에 내재하는 핵자 수의 비대칭성(baryon number asymmetry)이라고 부른다.만일 우리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대기가 1백배 정도 엷고 온도가 더 낮기 때문에 물은 액체상태로 남아 있기 힘들다.
보통
얼음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지하에 물이 존재해서 지표로 유출된다면 순식간에 얼거나 증발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액체상태의 물이 지표를 흘러 이러한 지형을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있다.우선 저녁 무렵 새들의 움직임을 관찰하라.갈매기를 비롯해 해변에 사는 새는
보통
아침에 바다로 날아가 저녁에 육지로 돌아온다.따라서 이 새들이 저녁에 발견되면 그 날아가는 방향쪽에 육지가 있음을 알수 있다.하지만 바다새의 경우는 다르다.이들은 먼 바다에 살면서 새끼를 부화할 때만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