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1983년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정해졌다.빛이 2억9천9백79만원2천4백58분의 1초 동안 이동한
거리
를 1m로 하기로 약정한 것이다.1m를 1백등분 한 것이 1cm이다.마찬가지로 우리의 전통과학에서도 질량의 표준은 길이에 기원을 두고 있다.중국에서부터 전해지는 방법은 한서(漢書) 율력지(律曆志)에서 잘 볼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아래로 향한다. 이때 위로 향하는 빛을 차단해 아래쪽으로 진행하는 빛만 보내므로 짧은
거리
만을 비춘다.벽면이 도청장치미국 국회의사당에는 한때 하원의 회의 장소로 쓰였던 조각 홀(Statuary Hall)이 있다. 이 방에서 매우 신기한 사실이 발견됐다. 이 방의 어떤 특정한 위치에 있으면, 방 반대편의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의 서식지를 필요로 한다. 수컷의 경우에는 이보다 더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렇게 먼
거리
를 이동하며 사는 동물에게 비무장지대는 철책으로 둘러싸인 커다란 우리(폭 4km, 총길이 248km)일 뿐이다. 또 철책은 우리나라 호랑이의 활동무대이던 백두대간을 가로막고 있다. 원래의 서식지로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9호는 1백69일 동안 여행한 끝에 11월 14일 오전 9시 2분 화성으로부터 2만2천1백32.3km의
거리
에 도착해 추력 1백50kg짜리 역추진 로켓을 15분 동안 분사해 원지점 1만1천7백km, 근지점 1천3백50km의 화성 타원 궤도 진입에 성공함으로써 인류가 다른 행성에 처음으로 만든 ‘인공 달’이 됐다. 마리너 9호는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정밀하게 관측한 프톨레마이오스는 달에도 미묘한 부등속 운동이 있고 달과 지구와의
거리
가 계속 달라진다는 것을 알았다. 그는 이렇게 복잡한 달의 운동은 지구가 원운동의 중심에 있지 않다는 이심원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여기에서 그가 고안한 것이 하나의 큰 원 위에 중심을 ... ...
세계의 컴퓨터를 내 것처럼 쓴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먼 공간을 전화라는 통신 수단이 이어주었던 것과 마찬가지로,현재 사람들 사이의
거리
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때문에 전 세계인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고도의 정보통신사회로 변해갈 것이라는 점은 누구나 인정한다.이런 사회에서 어느 물리학자가 ... ...
2. 별 여행을 실현시킬 미래의 추진기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떠나야 하기 때문에 가속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램제트는 로켓의 가장 큰 골칫
거리
인 거대한 크기의 연료탱크를 없앨 수 있다. 현재의 로켓은 에너지의 대부분을 연료와 연료탱크를 가속하는데 소비하고 만다. 로켓엔지니어들의 꿈은 가는 동안 연료를 해결하는 자급자족형 엔진을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기차로 시드니를 출발해서 도중에 장
거리
내륙행 버스로 갈아탔다. 화장실까지 갖춘 장
거리
버스는 탈 사람이 없어도 정해진 시간까지는 절대로 출발하지 않는다. 승객도 우리 가족 3인을 포함해서 겨우 6-7명 정도. 호주대륙은 동부 해안선에서 내륙으로 2백km 정도까지는 우리나라의 대관령 목장과 ... ...
최경희 교수의 과학아카데미 2 · 3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여성과의 이야기도 담고 있다.통조림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과 같은 흥미있는 여러 읽을
거리
가 있다. 여기에 ‘기름은 왜 물에 뜰까’ ‘도넛에는 왜 구멍이 있을까’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궁금증에 대한 설명과 실험도 포함돼 있다. 누구라도 쉽게 펴볼 수 있는 교과서인 셈이다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산에 오르지 않고도 산의 높이를 알 수 있도록 했다.달에 가 보지 않고도 달까지의
거리
를 쟀다.고대 학문의 중심지였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관장이었던 에라토스테네스는 삼각형의 성질을 이용해 하짓날 정오에 만들어지는 막대기의 그림자를 보고 지구의 크기까지 측정했다.또 수학자들은 ... ...
이전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