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비밀의 방 -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쓰는 언어에 모음이 빠지면 의미가 전달되지 않듯이 해독의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2018년에는 ‘포커계의 알파고’라고 알려진 ‘AI 딥스택’을 개발한 그레그 콘드랙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컴퓨터공학과 AI 연구소 교수가 보이니치 필사본 해독에 나섰다. 전세계 390개 언어를 97%의 정확도로 구별하고,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지구 수학자들에게 텔레파시를 보냈지. 그런데 얼마 전에 드디어 답이 도착했 어. 100여 년 만에 말이지! 정다면체 경로 찾기, ‘사교성 없는 조거’ 문제“정다면체 행성의 모든 꼭짓점에 집이 있다. 어떤 점에서 출발한 조거(조깅하는 사람)가 다른 집을 하나도 거치지 않고 자기 집까지 직선으로 ... ...
- [과학뉴스] 화성 지진의 실체가 드러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지진은 ‘케르베로스 포시’ 지역을 지나며 불규칙한 진동이 생겼어요. 이 지역은 1000만 년 전 용암이 흘렀던 화산 활동 지역이지요.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진원은 아직 모르지만 화성의 지진은 화산 활동과 연관이 높다고 추측했지요. 인사이트는 자기장이 거의 희박하다고 알려진 화성에서 ... ...
- 문화재, 실시간으로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우리나라도 드론으로 문화재를 지키고 있어요. 충청북도 문화재 돌봄사업단은 2016년부터 드론을 띄워 문화재가 훼손되지 않도록 순찰하고 있어요. 규모가 큰 목조 문화재나 범위가 넓은 성곽 등은 땅에서 문화재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지요. 돌봄사업단은 드론에 달린 카메라와 GPS로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모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단다. ● 인터뷰 "장기 칩 연구로 상도 받았어요!"2010년, 세계 최초로 허파 꽈리 모양을 본 딴 장기 칩을 개발하고, 지금은 오가노이드칩도 연구하고 있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허동은 교수를 화상 통화로 만나 보았어요. 허동은(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 ...
- [시사과학] ① 동물 해부실습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해부 실습을 금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어린이, 청소년은 해부 실습을 통해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은 만큼, 동물 모형과 같은 대체실습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맞다”고 지적했어요. 대체 해부 실습은 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미 활용되고 있어요. 지난해 ... ...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지위를 잃은 이유는? 올해는 명왕성 발견 90주년이자, 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잃은 지 14년째 되는 해예요. 그래서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이에 어울리는 6회 별빛미션을 준비했습니다.2006년 국제천문연맹총회는 명왕성의 크기나 궤도 등에 큰 변화가 없는데도 명왕성을 행성에서 제외했어요. 그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적외선, 상피세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파장이 약 800nm(나노미터)에서 1mm(밀리미터)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빛이에요. 1800년, 독일 과학자 윌리엄 허셜이 햇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고 각 색깔의 온도를 재다가 처음 발견했지요. 그는 가시광선 밖에서 온도계가 더 높은 온도를 가리키는 것을 보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다른 빛이 ... ...
- [매스크래프트] #6. 영국의 빅 벤, 하루는 왜 24시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12번 거쳐야 1년이 된다는 사실을 고대인들도 알고 있었거든요. 달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12번으로 나눠 구분하니, 당연하게 하루도 12번으로 나눠 생각했어요. 동양에선 십이지*를 이용해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눴고, 서양은 낮과 밤을 각각 12등분해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눴죠. 좀 더 수학적인 근거는 ... ...
- [수학체험실] 정사각형 다섯 개가 만드는 마법 펜토미노 달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그리스어에 ‘조각’ 또는 ‘덩어리’를 의미하는 ‘미노(mino)’를 붙여 만든 단어로, 1953년 당시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대학원생이었던 솔로몬 골롬이 이름 붙였다. 펜토미노 퍼즐을 언제부터 즐겼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1907년 영국의 퍼즐 디자이너 헨리 듀드니가 저서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