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열"(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옛 것이 새 것을 낳는다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교구를 들 수 있다. 다이얼을 돌리면 숫자가 빛나므로 어린이의 산수 교육에 그만이다. 열번째, 화재 경보기를 들 수 있다. 화재가 났거나 화재 직전의 상황을 자동으로 알려준다. 도난 방지기의 원리와 비슷하다.일렉트로닉스 응용발명은 이밖에도 수없이 많다. 공통점은 하나같이 신비하면서도 ... ...
- 왼쪽, 오른쪽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어휘력과 운동기능의 중심은 왼쪽뇌의 대뇌피질 속에 자리잡고 있다. 왼손잡이들의(열명에 한명꼴) 언어중심피질은 두뇌의 한쪽이나 양쪽에 있다.그동안 왼손잡이들은 비관적인 고정관념에 시달려야 했다. 오른손잡이 중심의 세계에서 씨름하는 왼손잡이 어린이들은 읽기를 잘못하거나 말을 ... ...
- 물량 가격경쟁력 면에서 LNG가 우세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조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가스이용 기술의 지속적 개발로 가스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가스냉난방 압축천연가스차량보급 등으로 그 사용영역이 크게 확대될 것이다 ... ...
- 20세기의 산업의 「감초」 플라스틱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상식적인 특성을 무시한 새로운 재료들도 잇따라 출현하고 있다. 전기를 통한다든가 열에 녹지않는다든가 철보다 강하다든가 액체상태로 쓰이는 재료 등이 그것이다. 이렇게 우리생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플라스틱이지만 폐기물로 버려지면 분해되지 않아 자연계의 순환을 방해한다. 이 때문에 ...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과학동아 l1992년 03호
- 고분자 과학의 발전이 얼마나 지연되었는가를 생각하면 안타깝기만 하다. 밝은 눈과 열린 마음을 가진 과학자만이 행운의 여신을 인지할 수 있으며, 그녀를 맞이할 준비를 한 과학자만이 결실의 단맛을 보게 된다 ...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이런 사용법의 통일은 윈도우가 쉽다고 하는 것을 더욱 뒷받침 해 준다. 하나를 배워서 열을 알게 된다고나 할까.아무리 쉬운 프로그램이라도 사용하다 보면 막힐 때가 있는 법이다. 윈도우는 따로 사용설명서가 없어도 사용에 큰 불편이 없을 만큼 도움말이 충실하게 지원된다. 온라인 ... ...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생각을 했지요."변변한 과학기술교육의 혜택 한 번 받지 못하는 식민지민의 설움을 안고 열여섯살이 되던 해 고향을 떠난 그는 학업을 더하겠다는 일념으로 일본 오오시카(大阪)항에 첫발을 디뎠다. 그로부터 7년간 윤씨는 동경전기 학교등을 다니며 고급 전기기술을 익힌 뒤 당시 경성을 제외한 ...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수행해 본 결과, 대다수의 사람이 1백번 정도일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실제로는 두번 내지 열번 안에 도착됐고, 중앙값(median)은 다섯번이었다는 것이다. 이 문제는 생활과 수학에서 나타는 우연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제시한 것인데, 역학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두 사람, 갈릴레이(1564~1642)가 죽은 ... ...
- 영국에 「무공해 녹색마을」 등장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우리의 일생생활에서 태양에너지를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를 보여준다. 그리고 태양열집열패널과 주전자에 각각 물을 채워 넣고 어느 것이 물을 끓이는데 있어서 더 효율적인가를 직접 인식하게 한다.이밖에 수력으로 가는 기차와 완전한 '녹색'마을도 눈길을 끈다. 에너지재생시스템도 실제로 ... ...
- 남해안 철새도래지과학동아 l1992년 03호
- '쌍용'이 후원해 매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두번씩 개최하는 이 행사는, 이번이 열번째로 전국에서 14명의 생물교사와 지도교수(윤무부·경희대 생물학과)등 20명이 참석했다.탐사지역은 우리나라 겨울철새의 대부분이 월동하는 지역인 주남저수지(경남 창원군) 낙동강하구(을숙도 주변)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