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5호
- “왕자님! 어디 안 좋으세요?”“세바스찬, 지난번에 바다에서 봤던 그녀의 늘씬한 꼬리와 아름다운 뒷모습이 자꾸만 생각나. 너무 놀라서 하마터면 바다에 빠질 뻔했다니까!”“아이고, 그 이야기 한 번만 더 하시면 100번째입니다요. 어차피 다시 만나지도 못할 텐데요. 선대왕께서 인어 공주님을 ... ...
- 놀라워서 오! 오징어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4호
- 안녕? 오징어 별에 온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을 환영한다. 나는 여러분을 안내할 흰오징어라고 해! 오징어가 아닌 것 같다고? 요렇게 생긴 오징어 말하는 거니? 오징어에 대해 아직 잘 모르는구나? 나 말고도 신기하게 생긴 오징어가 얼마나 많은데~. 좋아! 그럼 이제부터 내가 놀라운 오징어의 ... ...
- 우주왕복선의 마지막 미션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4호
- 미항공우주국(NASA)이 30년 우주왕복선의 최종 미션으로 국제우주정거장의 연료충전을 책임지는 주유 로봇을 보낸다는 소식이에요. 미항공우주국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은 1981년 4월 12일 컬럼비아호 발사로 시작됐어요. 이후 챌린저호, 디스커버리호, 애틀란티스호, 인데버호 등 총 5대의 우주왕복 ... ...
- 달이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2011년 6월 16일 오전 3시 30분쯤, 천천히 달이 사라지기 시작했어요! 바로 월식이 일어났기 때문이죠. 월식은 태양과 지구와 달이 일렬로 배열돼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이번 개기 월식은 미국과 캐나다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세계에서 관측할 수 있었어요.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이런…, 또 실패야! 아무리 다시 만들어 봐도 원하는 맛이 나오질 않아. 왜 내가 만든 요리는 다 맛이 없는 거지? 주방장님 말대로 정말 소질이 없는 건가….잠깐, 근데 이게 무슨 냄새지? 음~, 군침이 도는 걸! 나 말고 주방에 있는 사람이 또 있나? 킁킁~, 냄새를 쫒아….엥? 쥐? 쥐가 요리를 하고 있는 ... ...
- 땅 속 희유금속, 식물로 찾는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멋진 초록색 중절모가 놓인 전효택 교수의 책상 위에는 잔디밭에서 활짝 웃고 있는 전 교수의 대학교 재학 시절 사진이 있었다. 인터뷰 내내 전 교수의 눈빛은 사진 속 청년처럼 열정적으로 빛났다.“대학 때 배운 광상학과 지구화학탐사가 참 재밌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의 응용지구화학 분야는 ... ...
- 글쓰기 능력이 합격 가른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2012학년도 서울대 정시 논술전형이 1월 16일에 실시된다. 서울대는 논술 비중이 작년과 같은데다 올해는 쉬운 수능으로 고득점자가 많이 지원하기 때문에 논술이 당락을 결정할 것이다.2012학년도 서울대 정시 논술전형은 1단계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순으로 모집인원의 2배수를 선발 ...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내 가문 이야기를 하기 전, 내 소개를 해야겠다. 나는 털. 사람들에게는 친숙하면서도 그다지 입에 담지는 않는 이름이다. 사람들은 내 이름을 금기처럼 여긴다. 그래서 직접 이름을 부르는 대신, 머리카락이나 수염, 눈썹이라고 바꿔 부른다. 심지어 사타구니처럼 은밀한 부위에 나면 음모라고 어려 ...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서울에서 제주역까지 단 25분!’이런 팻말이 서울역에 달릴 날이 올까. 서울역에서 제주(제주국제공항 기준)까지 직선거리는 약 450km. 이 거리를 25분 만에 도착하려면 열차가 시속 1000km 이상으로 달려야 한다. 이 속도는 ‘현재 우리나라 땅위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KTX(시속 약 300km)보다도 3배 이 ...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어떻게 해서 지구라는 행성에 이처럼 풍부한 생명체가, 그리고 고도의 문명이 존재하게 된 걸까. 인류의 문명은 과연 언제까지 계속될까. 한국의 ‘스티븐 호킹’으로 불리는 이상묵 서울대 교수가 첫 생명체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미래까지 지구와 생명의 공진화를 통해 살펴본다.한 기자가 영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