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다른점"(으)로 총 5,496건 검색되었습니다.
- HUS가 햄버거병이 아닌 까닭동아사이언스 l2017.07.11
- 동아일보 제공 비과학적인 주장이 대중에게 설득력을 가질 때 사회가 얼마나 큰 손실을 입는지 우리는 경험으로 알고 있다. ‘한국인의 유전자는 광우병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검증되지 않은 이론 하나 때문에 전 국민이 거리로 나선 사실을 우리 국민 대다수가 기억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 와서 ... ...
- 부두 노동자의 손과 꽃 ‘올해의 아이폰 사진’ 팝뉴스 l2017.07.10
- 팝뉴스 제공 지난주 발표된 ‘아이폰 사진 상’에 입상한 작품 중 두 개를 골랐다. 아래는 꽃잎이다. 파스텔톤의 꽃잎은 화사하고 순수한 분위기다. 아이폰이 아름다운 장면을 포착했다. 사진 위는 자카르타 부두의 노동자 손을 촬영한 것이다. 손의 주인공은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손에 묻 ... ...
- [때와 곳 13] 산책 공원: 다양한 이유가 있는 곳2017.07.08
- 내가 거주하고 있는 수도권 신도시 동네에는 해발 50미터도 안 되는 동산이 두 곳이나 있다. 밀집된 서울의 인구를 분산시키기 위해 27년 전부터 계획도시로 개발된 이 도시에서 나는 22년째 살고 있다. 그러니 원주민은 아니더라도 꽤 오래된 이주민이긴 하다. 이 도시에서 나는 세 곳의 동네에서 각 ... ...
- 흉악범도 용서할 수 있을까2017.07.08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2015년 백인우월주의자 딜런 루프(Dylann Roof)가 미국의 한 흑인 교회에 난입해서 33 명의 사상자를 낸 끔찍한 혐오 범죄가 있었다. 이 사건 자체도 충격적이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사건 후 희생자의 가족들이 눈물을 흘리며 가해자를 용서하겠다고 이야기했던 장면이 더 ...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그녀는 마치 아이에게 하듯이 자신을 향해 이런저런 지시를 내렸다. “자, 이제 그걸 여기다 붙여. 너무 많이 붙이지 말고, ... 여기, 작은 구멍 바로 옆에. 이런, 봐, 떨어졌잖아. 물기가 부족했어, 그렇지? 뭐, 고칠 수 있어, 그렇지? 물로 조금만 적셔주면... 됐다. 그렇지?” - 존 윌리엄스, ‘스토너’ ... ...
- 유영민 미래부 장관후보자 “창조과학은 반(反)과학적”동아사이언스 l2017.07.04
-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후보자가 4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창조과학은 비(非)과학적이고 반(反)과학적”이라며 “창조과학에 동조하거나 관련 활동을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창조과학은 일부 극보수주의적·근본주의적 기독교 신자들이 과학으로 받아들이는 종교적 반지성주의다 ...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2017.07.01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우리는 소중한 사람들이 힘들어할 때 “그러게 왜 그랬어 ㅉㅉ. 너가 그러니까 안 되는 거야. 넌 이제 끝이야” 같은 말은 잘 하지 않는다. 사실이 아닐뿐더러 가뜩이나 힘든 사람에게 비난을 던져서 더 위축시키는 일은 별로 괜찮은 일이 아니니까. 하지만 자기 자 ... ...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교육기부는 계속된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1
- 울산과학기술원에서 진행된 원자력통제기술원의 교육기부 - 원자력통제기술원 제공 "장기적으로 봤을 때 핵비확산·핵안보의 저변확대가 성과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교육을 받은 친구들이 원자력 분야에 갔을 때, 핵비확산·핵안보 내용을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
- 언어능력 결정짓는 유전적 요인, 뇌신경세포 밖에도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8
- 말하기 능력에 관여하는 중심판개피질(왼쪽 빨간색)과 단어 철자 암기, 복잡한 단어의 자소 구분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왼쪽 하후측 측두피질(오른쪽 노란색). 성상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인 아쿠아포린4가 많이 발현된 사람일수록 이 부위가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래창조 ... ...
- 아이폰 10년, 그리고 컴퓨팅 시장의 변화2017.06.26
- 세상은 변화에 예민하기 마련이다. 그리고 어느새 그 중심에는 미디어 역할을 하는 기기가 있었다. 90년대에는 컴퓨터 그 자체가 아날로그 세상을 디지털로 바꾸었고, 2000년대는 인터넷과 휴대전화가 세상의 대화 방법을 바꿨다. 그리고 2010년 이후 우리는 모바일로 삶의 중심을 옮겼다. 그 시작은 20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