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교수팀은 미세교세포가 뉴런을 부추기기 때문에 계속해서 통증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
를 ‘미국과학원회보(PNAS)’ 작년 8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이 교수팀이 뉴런은 놔두고 미세교세포의 입만 막았더니 신경병성 통증이 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 통증의 범인은 미세교세포인데 그동안 괜히 뉴런만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03
핀베이커 교수는 상대의 말투를 흉내 내면 호감을 얻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올해 1월 25일 ‘심리학회지’에 게재됐다. 핀베이커 교수는 “그 사람이 잘 쓰는 단어나 조사를 따라하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제 그 사람의 말을 주의 깊게 들어보자. 그리고 그 사람이 자주 쓰는 ... ...
의약품에 숨은 화학 원리
과학동아
l
201103
살리실산메틸을 비교해보자. 두 성분 모두 몸 속에서 가수분해돼 작용한다. 가수분해
결과
를 보면 아세틸살리실산의 경우 아세트산, 살리실산메틸의 경우 메탄올이 생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메탄올은 몸속에 들어가면 간에서 산화돼 독성이 큰 포름알데히드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파스를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03
지난 2~3년 사이에 나온 집단 유전학의 연구
결과
와 2010년 막스플랑 크연구소의 연구
결과
를 보면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의 유전자에 어느 정도 기여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완전대체론도 100% 옳다고만은 말할 수 없는 처지가 됐다. 인류는 모두 몇 종?호모 속이 유라시아로 확산되면서 중기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03
광학컴퓨터나 신개념 영상의학 장비 등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
는 ‘사이언스’지 2월 18일 호에 소개됐다.미국 예일대 물리학자인 더글라스 스톤과 휴이 카오는 전통 레이저를 연구하다가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안티레이저 개념을 생각해냈다. 보통 레이저를 만들 때 갈륨비소 ... ...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03
손이나 발 등 신체 일부가 없는 사람은 의족이나 의수 같은 ‘의지’를 끼고 생활한다. 인류는 3000년 전부터 의지를 썼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영국 ... 발가락 유물들은 이보다 300년 정도 앞선 기원전 600년 전 것이다. 핀치 박사팀의 연구
결과
는 의학저널 ‘더 란셋’ 2월 12일자에 실렸다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03
연구팀은 지베렐린이 뿌리 내피 층에 신호를 특이하게 전달하는 현상도 발견했다.
결과
적으로 두 유전자 간의 상호작용이 뿌리세포의 분열과 뿌리 생장을 조절하는 셈이다.임 교수는 “지금까지 개발된 다수확 신품종 작물들은 대부분 지베렐린을 합성하거나 지베렐린이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에서 ... ...
‘아바타’ 정말로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103
가상인물을 자신이라고 여겼다. 전극이 달린 모자를 씌워 참가자들의 뇌 활동을 관찰한
결과
측두엽과 두정영역, 그리고 전두엽이 활발히 반응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을 유체이탈이라고 부르는, 시각과 촉각 사이에 불균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뇌가 혼란을 일으키는 현상이라고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03
가 한데 뭉쳐 ‘반원자핵(반초삼중수소핵)’도 만들었다. 스타 연구팀은 “이번 실험
결과
우주는 최초에 매우 끈적끈적한 액체와 비슷한 상태였을 거라고 생각된다”고 밝혔다.우리나라도 대형 중이온 가속기, ‘KoRIA’를 준비 중이다. 새로 건립될 과학도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내에 들어설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03
곤충의 발이 분비하는 액체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작은 입자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
결과
파리는 가만히 있을 때는 액체가 고체화돼 벽에 붙어 있지만 날려고 벽 반대쪽으로 힘을 주는 순간 점성이 낮은 액체가 돼 쉽게 떨어진다.곤충들의 접착능력은 언뜻 단순한 문제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렇게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