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증강현실로 포옹을 느낀다
과학동아
l
201005
감싸고 있는 촉감재생장치에 진동이 가해져 실제 포옹하는 느낌을 만든다.즈미토리
교수
는 “현대인은 단문문자서비스(SMS)와 e메일, 트위터, 인스턴스 메신저, 3D 가상세계에 열중하고 있지만 감정적으로 연결돼 있지는 않다”며 “문자로 감정과 촉감을 전달하는 촉감센서가 장착된 옷이 조만간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05
이만큼 발달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셈이다. 큰그림 보러가기권대영 박사는 이성우
교수
의 주장을 반박하고 한국 고추의 올바른 역사를 찾기 위해 여러 근거들을 찾았다. 이 박사가 주요 근거로들었던 ‘지봉유설’을 살펴보면 가루로 빻은 왜개자를 술에 타 마시다가 사망한 사람의 이야기가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05
한겨레신문에 해부학 만화를 연재해 ‘해랑 선생’으로도 알려진 정민석 아주대 의대
교수
의 4컷 만화인 ‘꽉 선생의 일기’는 과학계 안팎을 떠도는 오랜 관념과 편견에 대한 통렬한 풍자를 날린다.이렇게 만들어진 기사를 보기 위해 현재 하루에 1500명이 ‘사이언스온’을 찾아오고 있다. 문을 연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마치 일기예보처럼 예측할 수 있다. 미국 뉴욕 예시바대 물리학과 세르게이 벌디레브
교수
팀은 수리적 방법을 사용하면 커넥톰 같은 복잡계 연결망에서 질병이나 사고로 특정 노드가 망가졌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4월 15일자에 실었다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05
얼어붙는 현상을 이와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영국 런던대 레이먼드 돌란
교수
팀은 가상공간에 있는 맹수가 실험자를 향해 다가올 때 뇌가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를 핵자기공명영상으로 관찰해 2007년 8월 24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결과 맹수가 멀리 있을 때는 이성적인 판단을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높고 활용되는 속도가 빠르다면 레이저가 만들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KAIST 남창희
교수
가 한 말이 답이 될지도 모르겠다.“레이저는 10년 전, 5년 전의 모습을 현재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여전히 지금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항상 레이저는 우리의 상상을 훨씬 뛰어넘으며 발전해왔죠. 우리의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만든 실험재료(리보솜과 결합하는 단백질)를 갖고 연구한 적이 있다”며 “지금도 김
교수
와 e메일을 주고받으며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나트 박사는 2005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지에 자신이 발표한 리보솜 결정학 관련 리뷰논문을 보여줬다.올해 요나트 박사는 한국을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05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무엇의 약자인지 모르는 사람도 한번쯤은 위치확인이나 친구찾기 서비스는 들어봤을 것이다. 요즘엔 내비게이션뿐 아니라 스마트폰에도 GPS를 사용한다.간단한 수준의 위치추적은 휴대전화 기지국이 담당하는 반경 몇 백m 지역 안에 있는 친구의 위치를 알려준다. 1960년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05
있는 물체의 크기는 어디까지인지 실험과 함께 이론적인 계산으로 증명하는 식이다. 이
교수
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생물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05
수 있어야 돼.”“물리학 중에서도 유체역학을 배우고 싶어요. KAIST에 탐방을 갔을 때,
교수
님께 질문을 받은 뒤부터 관심이 생겼어요.”“그러면 관련 책은 많이 읽어봤니?”“학교 도서관에서 과학에 대한 웬만한 책은 다 읽었어요. 그런데 물리학에 대한 몇몇 책들은 어려워서 못 읽겠더라구요 ... ...
이전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다음
공지사항